바다를 애타게 사랑한 여성 과학자
어릴 때부터 바다를 애타게 동경하며 자란 레이첼 카슨은 글을 잘 쓰는 생물학자가 되었다. 레이첼 카슨은 늘 바다와 함께 살았다. 현장 탐험을 다니며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바다와 해양 생물을 연구하고 또 연구했다. 여성 과학자가 설 자리가 없던 20세기 중반에 레이첼 카슨은 글을 통해서 대중에게 다가섰다. 당시 사람들은 바다에 관해 아는 것이 별로 없었다. 그저 신비하고 무서운 존재로만 알고 있었다. 레이첼 카슨은 사람들에게 바다의 소중함과 바다에 사는 생명체에 대해서 알기 쉽게 글로 써서 전달했다. 이런 노력 덕분에 사람들은 바다와 점점 친숙해졌다. 바다를 주제로 쓴『바닷바람을 맞으며』,『우리를 둘러싼 바다』, 『바다의 가장자리』는 레이첼 카슨이 바다에 바치는 일종의 오마주였다. 레이첼 카슨은 바다와 관련한 글을 쓸 때는 언제나 열정적이고 충만했다.
과학자의 양심, 침묵의 봄
전쟁이 끝나고 외국에서 들어온 불개미, 매미나방, 말라리아모기, 딱정벌레 등은 나라마다 골칫거리였다. 이에 안정성 검증도 안 된 DDT 살충제가 대량 살포되었다. 이 마법의 하얀 가루는 농작물을 말끔하게 자라나게 했고, 나무를 갉아 먹는 해충을 퇴치해 주었다. 헬리콥터로 숲과 들판에 대량 살포되었고, 사람들과 동물들은 이런 살포에 무방비로 노출되었다. 새들도 무참하게 죽어 나갔다. 레이첼 카슨은 이 마법의 하얀 가루가 의심스러웠다. 해충을 말끔하게 없애주는 화학물질이 사람에게 무해할 리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레이첼 카슨은 끈질기게 DDT 살충제의 위험성을 파고들었다. 그리고 진짜로 이 살충제가 암은 물론이고 심각한 질병을 유발한다는 증거를 찾아냈고, 새들이 오지 않는 봄을 맞을 거라는 내용의 『침묵의 봄』을 써서 세상에 내놓았다. 『침묵의 봄』을 쓰는 4년 동안 레이첼 카슨은 참으로 고통스러웠다. DDT 위험성을 조사하면 할수록 점점 더 심각한 독성 물질이 검출되었다. 이런 사실은 대중에게 은폐되었다. 살충제 제조회사들의 돈을 받은 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