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개념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이해하고 싶다면, 이 책을 읽어라."
-앤드루 브릭스(옥스퍼드대학교 나노소재과학 명예교수
생명과 생명 아닌 것을 가르는 것은 정보다
생명이란 무엇인가? 오랫동안 과학자들은 이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 분투해왔지만, 여전히 생명은 비밀의 장막으로 가려진 마법처럼 보인다. 보잘것없는 미물인 세균조차 우리는 감히 흉내낼 수도 없는 놀라운 방식으로 작동한다.
1943년 양자물리학자인 에르빈 슈뢰딩거는 ‘생명이란 무엇인가?’라는 제목의 역사적 강연에서 이 수수께끼에 도전하여 생명을 물리학으로 설명하고자 시도했다. 슈뢰딩거는 혼돈에서 생명이라는 질서가 생겨나기 위해서는, 즉 생명이 열역학 제2법칙을 거스르기 위해서는 그 명령이 어떤 식으로든 분자에 부호화돼 있어야 한다고 추정했다. 그로부터 10년 후 DNA 구조가 발견되면서 슈뢰딩거의 통찰은 사실로 입증되었다. 이후 수십 년간 분자생물학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생명을 원자와 분자의 물리화학만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강한 환원주의’가 과학계의 대세가 되었다. 그러나 인간의 유전 부호가 해독된 지금도 유전자와 생물학적 형질이 어떻게 연결되고 조직되는지 등의 생명의 수수께끼는 여전히 풀리지 않고 있다. 강연의 끝에서 슈뢰딩거는 생명이 아직 우리가 알지 못하는 ‘다른 물리법칙’과 관련이 있을지 모른다고 암시했다.
세계적인 이론물리학자이자 과학커뮤니케이터인 폴 데이비스는 슈뢰딩거의 생각에 동의하며, “생물은 깊고 새로운 물리적 원리들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원리들을 밝혀내 거두어 쓰게 될 문턱까지 우리가 와 있다”고 말한다. 유사 이래로 많은 사람들은 생명이 물질 이외에 어떤 마법과도 같은 생명력--공기(숨, 열, 전기, 영혼, 에테르 등--에 의해 생겨났다고 여겼다. 그러나 이러한 생기론을 뒷받침할 과학적 증거는 전혀 없다. “그러나 비록 생명력이 존재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생명 물질에 무언가 특별한 것이 있다는 인상을 떨쳐버리기는 힘들다. 그렇다면 문제는 이것이다. 그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