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시작하며_ 로마 역사는 살아 있다
서문_ ‘도전과 응전의 제국’ 로마, 2206년 흥망성쇠의 비밀
part I
‘회복탄력성’과 ‘공공성’, 두 기둥으로 세계 제국이 된 로마
― 최대 경쟁자 카르타고를 멸망시키고 지중해를 통일하다
① Republican Government(공화정
독재를 혐오한 로마인, 공화정을 선택하다
로마 건국자 로물루스가 인구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비니족 여성 대량 납치 사건’을 명령했다? | 로마 공화정 탄생의 기폭제가 된 ‘루크레티아 능욕 사건’?| 로마는 왜 그토록 독재를 경계했을까? | 고대 로마의 민주정(공화정이 고대 그리스 아테네의 민주정보다 1년 앞섰다고? | 500년 지속된 로마 공화정 vs. 50년 지속된 아테네 민주정 | 플라톤은 독재정, 아리스토텔레스는 귀족정을 지지한 까닭은??| 고대 그리스가 로마처럼 세계 제국으로 발전하지 못한 이유
② Resilience(회복탄력성
패배할수록 강해지는 로마군, 패배에서 배우는 로마인
‘로마 제2의 건국자’ 카밀루스는 어쩌다 위기에 빠진 나라를 구하고도 추방되다시피 했을까??| 카우디움 전투에서 삼니움족에게 당한 굴욕을 되갚아주고 대제국의 기틀을 다진 위대한 로마군?| 막강한 로마군에게 역사상 최악의 패배를 안긴 카르타고의 명장 한니발?| 패전 장수에게 패자부활전의 기회를 주는 관용과 융통성이 로마를 대제국으로 만든 원동력이었다??| ‘한니발 전법’을 응용해 자마 전투에서 한니발 군대를 꺾은 명장 스키피오?| 스키피오는 왜 자신의 묘비에 “은혜를 모르는 조국이여, 너희는 내 뼈를 가질 자격이 없다”라는 글을 남겼나??| 관용의 로마가 카르타고에만은 관용을 베풀지 않고 초토화한 이유?| 보수파 원로원 의원 카토는 왜 스키피오를 그토록 끔찍이 싫어했을까?
③ Publicness(공공성
로마인의 철두철미한 ‘공공성’이 제국으로 도약하는 디딤대였다?
고대 로마를 단순한 공화정이 아닌 ‘공화정 파시즘’으로 이해해야 하는 이유?| 인
“로마 이전의 모든 역사는 로마로 흘러들어갔고,
로마 이후의 역사는 로마로부터 흘러 나왔다.”
이런 질문으로 시작해보자. ‘왜 우리는 로마사를 공부해야 할까?’, ‘2,206년 로마 역사는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 왜 중요할까?’ 이런 질문 앞에서 당신은 다음과 같은 의문을 품게 될 수도 있다. ‘기원전 753년에 세워져서 1453년 동로마제국의 멸망과 함께 사라진 로마사는 이미 과거의 일이 아닌가? 지금 존재하지도 않는 로마라는 나라와 그 나라의 역사가 21세기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왜 중요하다는 거지?’
당신의 의문에 두 가지로 답변할 수 있겠다. 첫째, 이 책의 저자 모토무라 료지가 자신의 다른 책 『세계사를 결정짓는 7가지 힘』에서 ‘세계사를 움직이는 7가지 코드(힘’ 중 일곱 번째로 꼽은 ‘현재성’에 기대어서다. 그 책에서 저자는 “모든 역사는 현재사다”라고 언명한다. 이는 역사란 어느 한순간, 한 장면도 단절되지 않고 끊임없이 이어지면서 우리가 발 딛고 사는 오늘, 지금 이 순간으로 이어지고 확장하며 ‘현재성’을 획득해간다는 의미다. 이런 맥락에서 2,206년간의 로마 역사 역시 어느 한순간, 한 장면도 단절되지 않고 끊임없이 이어지면서 우리가 발 딛고 사는 오늘, 지금 이 순간으로 이어지고 확장하며 ‘현재성’을 획득해간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로마사에는 인류의 경험이 응축되어 있다”, “로마사는 사회학의 실험장이다”라는 정치학자 마루야마 마사오의 말과 “로마 이전의 모든 역사는 로마로 흘러 들어갔고, 로마 이후의 역사는 로마로부터 흘러나왔다”라는 독일 역사가 레오폴트 폰 랑케(Leopold Von Ranke의 말에 기대어서다. 두 학자의 말대로, 인류 역사에서 차지하는 로마사의 위상과 무게감은 절대 만만하지 않다. 세계사를 찬찬히 톺아보면 랑케의 말대로 “로마 이전의 모든 역사는 로마로 흘러 들어갔고, 로마 이후의 역사는 로마로부터 흘러나왔”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이집트 문명의 영향을 받은 고대 그리스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