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판 서문 5
서문 13
1 개관 15
1부 생산양식과 계급
2 소득분배의 구조 23
소득분배의 두 가지 법칙 23 | 임금과 자본소득 27 | 소득 위계관계 내 관리자들 30
부록. 그림 2.1에 적용된 방법론 32
3 마르크스의 역사이론 35
역사에 대한 유물론적 해석 35 | 생산양식: 착취구조 37 | 경제이론과 경제주의 43
계급과 소득의 형성 48 | 역사 동역학의 “객관적” 구성 요소인 계급투쟁 50
4 마르크스의 관리자 분석 57
소유자 및 관리자로서 자본가 58 | 이윤율을 극대화하는 임금노동자 행위자 60
관료들 63 | 설명력을 확장하자 64
5 사회성과 계급사회 66
“사회성”: 작업장 관리 68 | 생산의 사회화: 자본가와 관리자 69
사회성 이론과 계급사회 이론의 교차점에 있는 국가 72
계급지배로부터의 해방 74 | 인간 사회에 관한 이중적 이론 76
부록. 《브뤼메르 18일》에서 국가와 관료. 프랑수아 퓌레의 관점 78
6 관리주의와 관리자본주의 83
생산양식으로서 관리주의―사회화 83 | 관리자본주의 87
관리자본주의로의 진입 I: 민간 관리에서의 혁명 89
관리자본주의로의 진입 II: 정부의 혁명 91
7 그 외 다양한 여러 해석 94
계급 분석을 “현대화하기”: 관리자본주의 내의 세 계급 95
마르크스적 분석틀의 한계를 넘어 98
자본주의를 넘어서: 슘페터, 번햄, 갤브레이스 99 | 사회학과 역사철학 103
8 혼합적 생산관계를 통한 과감한 분석 107
봉건제로부터 자본주의 생산관계의 탄생으로: 프랑스 앙시앵레짐 109
영국의 “앙시앵레짐” 114 | 마르크스와 신흥 자본주의 관계의 경제학 117
계급모순의 탄생: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 119
2부 관리자본주의 120년
9 불평등의 다양한 추세 129
불평등: 총소득 129 | 불평등: 임금 132 | 불평등: 자산 13
책에서 저자들은 이전 저서 《거대한 분기》에서 그 단초를 밝힌 변모한 자본주의의 3대 계급 자본가-관리자-민중의 삼중 계급 체계를 바탕으로 자본주의 사회가 관리주의 체제로 변모하고 있음을 더욱 상세하게 분석한다. 계급사회 분석에서 기본적 계급이던 자본가-지주-노동자에서 확장되고 변형된 이 분석틀은 중요한 역사적 분기점에서 여러 가지 타협과 상호작용을 거치면서 현시기 자본주의 구조를 일종의 관리자본주의로 변모시키는 주요한 계급 혹은 집단을 우리에게 제시해 준다. 이렇게 관리주의 및 관리자의 성격을 다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하면서, 저자들은 스스로 마르크스주의의 근본적인 분석틀을 취하면서도 지난 시기 마르크스주의적 실험의 실패들 역시 직시하면서, 앞으로 인간해방의 길을 어떻게 열어야 하는지 그 실마리를 찾아본다.
책은 총 4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내용에 따라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우선 1, 2부는 마르크스 이론과 관리자본주의의 역사를 다룬다. 1부 생산양식과 계급에서 저자들은 마르크스의 기본적인 역사이론에 대한 설명과 함께 그의 관리자 분석의 한계를 지적하며 이를 보충한다. 다음으로 “사회성”이라는 개념으로 계급 개념을 좀 더 확장할 수 있음을 보여주면서 생산양식으로서의 관리주의 및 관리자본주의의 등장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졌는지 정리하고 있다. 이때 이른바 “생산-사회화” 양식의 변화를 자세하게 분석하기 시작한다. 마르크스주의적 해석뿐 아니라 다양한 여러 경제학자의 이론들이 소개되며 이렇게 역사상 봉건제부터 프랑스 혁명을 거쳐 현대에 이르는 관리자 계급의 부상을 조망한다. 2부 관리자본주의 120년에서는 불평등의 추세를 살펴보면서 특히 미국 경제에서 등장한 관리자/경영자들에 대해서 살펴본다. 저자들은 대공황 이후 및 양차 세계대전 이후 이루어진 타협과 미국과 유럽의 비교 및 앵글로-색슨 헤게모니와 초국적 관리 엘리트들의 네트워크 문제까지 살펴보면서 지배의 정치 및 경제 핵심을 분석한다. 다양한 통계 자료를 통해 세계의 지배계급들이 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