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이 책에서 언급하는 주요 사적 위치 약도
제1화 ‘상(象’이라는 글자는 왜 생겼을까?
한자가 묘사하는 동물들 | 온난했던 화북 | 은왕의 수렵 기록 | 희생과 술
제2화 ‘7월’이 노래하는 월동 준비
『시경』 속의 “숫자풀이 노래” | 빈풍이란 | 주거와 음식 | 의복
제3화 공자의 애제자 자로의 품위 없는 비밀
모피를 입은 사람과 입지 않은 사람 | 모피 코트를 만드는 전문 집단 | ‘말업(末業’으로 불리다 | 금원(禁苑의 야생동물 등급 | 『예기』 옥조편(玉藻篇의 동물관 | 호학(狐?이란 무엇인가?
제4화 ‘그루터기를 지키는’ 속사정
왜 밭에 나무 그루터기가 | 송(宋이라는 나라 | 춘추시대 초기의 경지 정비 | 토끼는 어디에서? | 동아시아 농업의 ‘어려움’ | ‘그루터기를 지키는’ 일의 출현 조건
제5화 사실은 무서운(? ‘일촌일품(一村一品’ 정책
고대의 거주 공간 | 제나라의 자연환경과 사회구성 | 『관자』가 말하는 제나라의 건국과 의복 | 경중지책 | 맹가의 제나라 체재와 관찰 | 『관자』 사상의 영향
제6화 합종연횡은 이문화(異文化 동맹?
변설로 만든 천하의 형세 | ‘미혹의 말’의 내용 | ‘황장제주(黃腸題湊’ | 한 제국 초기의 다양한 환경 | 교역된 물품 | 합종책의 실태
제7화 스파이 정국(鄭國의 운명
‘통일’사업 완성의 경위 | ‘택로(澤鹵’가 출현한 장소 | 고대의 ‘환경파괴’ | ‘택로’ 이용법의 역전 기법-벼농사 | 정국의 행운
제8화 사마상여(司馬相如의 그녀는 감자 아가씨?
멋쟁이 선비의 과부 획득 작전 | 탁문군의 실상은? | 탁문군의 선조 | 탁씨의 계획 | 제철로 생계를 유지하는 조건 | 감자가 풍족한 지역에서 태어난 탁문군
제9화 ‘공공사업’은 예나 지금이나……
진흙은 분명히 비옥하지만…… | 밭농사 관개의 맹점 - 재생 알칼리화 | 대전법(代田法 - 재개발의 비책 | 백거(白渠를 기록한 의의
제10화 ‘귀순’한 흉노(匈奴의 벤처사
책 속에서
“중국 대륙의 대지는 유구해도 각 시대의 기후조건이나 인간의 존재 방식은 변천해 왔습니다. 자연환경에 대응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개조하려는 노력이 있었고, 그 개조에는 곡물 생산 중시정책과 같은 성공 사례는 물론 적지적작(適地適作주의를 이용한 화폐·유통 조작과 같은 다른 지역에서는 응용하기 어려운 실패 사례도 있었습니다. 또한 목축을 배제하는 화이사상이나 가정 내 남녀분업과 같이 대응책 자체가 가지고 있는 부정적 측면이 후세의 사회에 영향을 미친 경우도 있습니다. 그중 대응책의 정보가 기록된 경우 2천 년 이상 지속된 한자 문화를 가진 중국에서는 건지(乾地농법 기술이나 유용수목식수정책처럼 정보를 축적하여 사회 공통의 지혜로 만드는 경우도 나타났지만, 기록자 측이 정확한 정보를 파악할 수 없었던 경우 밭농사 관개나 구종법처럼 실패의 반복도 발생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_본문 중에서
“중국 대륙이 인간, 그것도 엄청난 수의 사람들이 거주 가능한 환경일 수 있었던 것은 여름철 고온, 다우(多雨한 동아시아 몬순 기후라는 환경 아래 강우량·기온 등에 적응한 곡물 재배지 중심의 산업 지리를 형성해 왔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그러한 방침이 ‘국가’의 주류가 되기까지는 여러 사람들의 영위(營爲가 있었을 것이라는 점은 꼭 전해드리고 싶었는데 성공적인지 모르겠습니다. 따라서 꼭 농업 생산의 잉여라고는 말할 수 없는 물품의 교역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보여 주는 사례나 이 같은 환경 속에서 최대한의 인구 유지라는 정치·경제적 요청을 충족시키기 위해 꽤 의도적으로 ‘남녀(男女’와 ‘화이(華夷’의 차이가 만들어진 경위에 관해서도 소개해 드리려고 했습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중국’에서 탄생한 사회 유지 구조는 그것을 ‘배운’ 동아시아 여러 지역의 오늘날의 사회에도 다양한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지요.”
_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