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집을 펴내며
1부_ 한국 불교의 특성론
한국 불고 특성론과 한국 불교 연구의 방향
Ⅰ. 들어가는 말
Ⅱ. 한국 불교 특성론
Ⅲ. 한국 불교 연구의 방향
한국 불교의 특성과 정신
- 한국인의 역사와 삶 속의 역할을 중심으로
Ⅰ. 서론
Ⅱ. 한국 불교의 특성에 관한 기존 논의
Ⅲ. 한국 불교의 특성 파악을 위한 원칙과 방향
Ⅳ. 변화하는 한국 불교: 새로운 정체성의 모색
Ⅴ. 한국인의 역사와 삶 속 불교의 역할
한국 불교사와 개혁 운동
Ⅰ. 한국 불교의 특성
Ⅱ. 가마쿠라 신불교의 성격
Ⅲ. 한국 불교사의 개혁 운동
Ⅳ. 결론
한국 불고 수행(修行 전통에 대한 일고찰
Ⅰ. 한국 불교의 수행 전통
Ⅱ. 유언(有言과 무언 (無言
Ⅲ. 휴정과 지눌
민중불교, 선(禪 그리고 사회윤리적 관심
2부 _ 고려 불교 연구
고려시대의 승계제도(僧階制度에 대하여
- 고려도경을 중심으로
Ⅰ. 고려 태조와 불교
Ⅱ. 관료제도로서의 고려 불교: 승계
Ⅲ. 왕사와 국사
Ⅳ. 걸어
고려 불교의 창조적 종합
- 의천과 지눌
Ⅰ. 한국 불교의 회통적 성격
Ⅱ. 의천의 생애
Ⅲ. 의천의 불교 사사
Ⅳ. 지눌과 정혜결사 운동
Ⅴ. 지눌의 심성론
Ⅵ. 지눌의 수행론
보조(普照 사상 이해의 해석학적 고찰
Ⅰ. 보조 사상의 이해
Ⅱ. 객관주의적 이해를 넘어서서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와 지눌 선(禪 사상의 구도
Ⅰ.서론
Ⅱ. 지눌 선(禪 사상의 체계와 구조
Ⅲ. 『절요』에서 본 지눌의 선(禪 사상 체계와 지눌의 여타 저술들
Ⅳ. 결어
지눌, 반야(般若에서 절대지(絶對知 로
Ⅰ. 공적 영지론의 사상사적 배경
Ⅱ. 무아론을 넘어
Ⅲ. 종밀의 지(知 개념
Ⅳ. 지눌의 진심 개념
Ⅴ. 지와 지성
비교 사상 관점에서 본 지눌의 선(禪 사상
Ⅰ. 초인격적인 정신세계
Ⅱ. 지성과 불성
Ⅲ. 진아의 탐구
Ⅳ.맺음말
다시 생각해보는 돈오점수론(頓悟漸修論
3부 -
책 속에서
한국적인 것의 특성을 찾으려는 노력은 비단 불교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중국의 정치적, 문화적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아 온 한국문화의 경우 그 정체성의 문제는 더욱 미묘한 양상을 띠게 된다. 정체성은 차별성의 확보와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한국문화의 뚜렷한 독자성 내지 정체성을 주장하려면 불교뿐만 아니라 유학, 도교, 미술이나 건축 등의 분야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제기되는 것이다. 과연 여기서도 중국과의 질문은 아니고 동아시아 문화를 연구하는 세계 학자들의 공통적인 관심사이다.
“1부_ 한국 불교 특성론과 한국 불교 연구의 방향” 중에서
한국 불교의 특성과 정체성에 대한 종래의 논의는 주로 과거의 한국 불교를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져 왔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그것도 주로 출가승가와 고승들의 사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논의는 첫째로 현재 한국 불교에 일고 있는 의미 있는 변화들과 새로운 정체성의 모색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로 출가 승려들뿐 아니라 재가불자들, 더 나아가서 한국인 일반의 삶에서 불교가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영향을 미쳐왔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1부_ 한국 불교의 특성과 정신” 중에서
교학을 하는 사람들은 진리를 자기 자신 안에서 찾지 않고 문자 속에서 찾으려 한다. 따라서 그들이 이해하는 진리는 그들을 변화시킬 힘이 없는 것이다. “경을 보는 것이 만약 자기를 향한 공부가 아닐 것 같으면 비록 온 대장경을 다 보았다 하더라도 아무런 이익이 없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해 휴정에 의하면 교는 타인으로 하여금 무언의 진리를 깨닫도록 하는 도움이 필요한 필수 불가결의 한 방편이다. 그리하여 교는 법(法의 불변(不變과 수연, 인(人의 돈오와 점수를 말해준다. 그러나 동시에 교의 근본적 한계도 분명히 인식되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수행자는 무언의 진리가 지니는 해방적 힘을 경험하고자 한다면교를 버리고 선으로 나아가야 하는 것이다.
“1부_ 한국 불교 수행(修行 전통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