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5
제1부 도가의 정신
1장 노자의 정신론
1. 정이란 무엇인가? 2. 정기 3. 알맹이 4. 골짜기의 정신 5. 신비한 그릇 6. 신령 7. 귀신 8. 정과 신
2장 장자의 정신론
1. 노자와 장자 2. 정: 정기 3. 신: 신명 4. 정신과 도 5. 자유로운 정신
3장 『회남자』의 정신론
1. 정신의 탄생 2. 정신론의 의미 3. 정: 하늘과 땅의 정기 4. 신: 형체에 대한 정신의 우위 5. 정신의 가르침 6. 사람의 정신
제2부 유가의 정신
4장 『대학』과 『중용』의 정신론
1. 『예기』의 발전 2. 정신의 역사 3. 『대학』의 정 4. 『중용』의 정 5. 『중용』의 신 6. 『예기』와 정신 7. 정신보다는 귀신
5장 공맹의 정신론
1. 도가와 다른 유가 2. 『논어』의 신 3. 『논어』의 정 4. 『맹자』의 신 5. 초월에서 민본으로
6장 순자의 정신론
1. 정신의 역사 2. 유가와 도가 사이 3. 정: 본래의 우수한 기능 4. 신: 전통적이면서도 전통적이지 않은 5. 대신과 신명 6. 정신에서 신명으로
제3부 심론
7장 노자의 심론
1. 마음 2. 주자와 양명 3. 유가와 도가 4. 노자의 마음 5. 노자 이후
8장 장자의 심론
1. 마음의 두 뜻 2. 문제 제기 3. 이루어진 마음 4. 기계의 마음 5. 도둑의 마음 6. 늘 그러한 마음―노자와는 다른 7. 개념의 겉과 안
9장 맹자의 심론
1. 맹자의 역사성 2. 진심과 인심 3. 존심 대 방심 4. 노심 대 노력 5. 항심과 본심 6. 양심 7. 사단지심 8. 심과 기
참고문헌 책에 실린 글의 출전 찾아보기
아래에서는 노자, 장자, 순자의 정신론과 맹자의 심론 중 핵심 내용을 요약했다.
▲노자의 정신론
『노자老子』에 ‘정신精神’이라는 말이 나오지 않는다. ‘정’과 ‘신’이 따로따로 등장할 뿐이다. 그렇다면 고대 사유에서 ‘정신’ 개념의 탄생은 어떻게 봐야 할까? 도가의 정신론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노자의 ‘정’과 ‘신’의 용법을 상세하게 정리해야 한다.
‘정’은 현대어로 번역하기 매우 힘든 말로 물질의 가장 순정한 상태를 가리킨다. 그런 점에서 정은 ‘순수 물질’이라고 정의해도 좋겠다. 『노자』에서 정은 이와 같은 용법에 충실하여 오늘날의 용법으로는 ‘정기精氣’나 ‘정력精力’에 해당한다.
신은 크게 네 가지 용법으로 나뉜다. 첫째, 골짜기의 정신이다. 이때 신은 여성성의 위대함이며 불멸성을 가리키며, 순수한 물질로서의 정과 구별되는 순수한 정신으로서의 신을 보여준다. 그런 점에서 오늘날 정신의 의미에 가장 근접한다.
둘째, 신비한 그릇이다. 이때 ‘신’은 천하가 신비함을 가리킨다. 일반적인 예측과는 다르게, 여기서 신비한 것은 천지나 자연이 아니라 천하 곧 사회다. 노자는 사회를 다스리려는 자세를 비판하면서 무위無爲의 이념에 걸맞게 사회철학적 주장을 하고 있다.
셋째, 신령의 신이다. 여기서는 ‘하나一’에 대한 숭배 의식과 더불어 신이 일자一者를 얻음으로써 드디어 영활靈活해질 수 있음을 주장한다. 후대 『여씨춘추呂氏春秋』와 『회남자淮南子』에 나오는 ‘태일太一’ 사상의 시원이 『노자』에 있음을 보여준다. 『태일생수太一生水』의 발굴은 이 점을 더욱 명백히 해준다.
넷째, 귀신의 ‘신’이다. 귀가 신을 얻지 못하면 귀 노릇을 못함을 보여준다. 이는 『노자』 당시 귀는 신에 의해 조정되고 통제됨을 나타낸다. 신은 귀의 작동 원리이고, 귀는 신의 작동 대상이다.
후대에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정기신精氣神’의 원리에서처럼 기가 정과 신을 매개한다든가, 신이 정을 제어한다는 관념은 『노자』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정과 신은 분리되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