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담화 기호학 : 문화 분석을 위한 도구 상자 - 철학의 정원 61
저자 자크 퐁타뉴
출판사 그린비
출판일 2023-08-31
정가 31,000원
ISBN 9788976828880
수량
저자의 말

제I장 기호에서 담화로
개요
1. 기호와 의미작용
1.1. 의미의 다양한 정의 · 1.2. 전통적인 기호 이론
2. 지각과 의미
2.1. 쟁점들 · 2.2. 언어활동의 두 측면 ·2.3. 감성과 지성

제II장 의미의 기본 구조
개요
1. 이원 구조
1.1. 모순 대립 (결성 대립, 유무적 대립 ·1.2. 반대 대립
2. 기호 사각형
2.1. 기호 사각형의 구성 원리 ·2.2. 기호 사각형의 기본 통사 ·2.3.가치론적인 분극 ·2.4. 2세대 항
3. 삼원 구조
3.1. 현상 기술의 세 가지 층위 ·3.2. 삼원 구조의 속성 ·3.3. 존재 양식
4. 긴장 구조
4.1. 미결 상태의 문제들 ·4.2. 새롭게 요청되는 내용 ·4.3. 감성의 차원 ·4.4. 두 차원의 상관관계 ·4.5. 상관관계의 두 가지 유형 ·4.6. 발랑스에서 가치로 ·4.7. 4장의 결론

제III장 담화
개요
1. 텍스트, 담화, 이야기
1.1. 텍스트·1.2. 담화 ·1.3. 이야기 ·1.4. 텍스트와 담화 ·1.5. 이야기와 담화
2. 담화 심급
2.1. 위치 점유 ·2.2. 연동/탈연동 ·2.3. 위치의 장
3. 담화 도식
3.1. 긴장 도식 ·3.2. 표준 도식 ·3.3. 담화 통사

제IV장 행위소
개요
1. 행위자와 행위소
1.1. 행위소와 술어·1.2. 정체성, 역할, 태도의 행정·1.3. 문장의 행위소와 행위자
2. 변형 행위소와 위치 행위소
2.1. 담화적 변형과 담화적 정향 ·2.2. 위치 행위소 ·2.3. 변형 행위소 ·2.4. 위치의 장과 서술 장면
3. 양태
3.1. 술어로서의 양태 ·3.2. 정념적 상상으로서의 양태화

제V장 행위, 정념, 인지
개요
1. 행위
1.1. 전제에 의한 재구성 ·1.2. 행위 프로그램화
2. 정념
2.1. 정념적 강도와 외연 ·2.2. 담화의 정념적 차원의 형상
3. 인지
3.1. 지식과 믿음 ·3.2. 포착과 합리성
4. 교차와 삽입
포스트구조주의 시대를 위한 ‘파리학파 기호학’
그레마스를 잇는 퐁타뉴 이론의 개론서

기호학은 구조주의 언어학을 토대로 출범한 언어학의 분과 학문이다. 전통 언어학에서 연구 대상으로 삼았던 ‘단어’와 ‘문장’ 차원의 의미를 넘어 그 대상을 ‘텍스트’의 의미로 확장했다. 60년대에서 80년대의 초기 기호학은 철저히 구조주의적인 관점에서 구축되었지만, 80년대와 90년대에 접어들며 기호학은 구조주의의 약화와 함께 다양한 변화의 국면을 맞이했다. 파리학파 창시자 그레마스의 제자이자 그를 이어 후기 파리학파를 주도한 저자 자크 퐁타뉴는 이 책에서 구조주의 시기의 기호학 연구 성과들을 망라하고, 이른바 ‘포스트 구조주의’ 시대를 맞이한 오늘날 파리학파 기호학이 나아갈 방향과 수정된 이론을 제시한다.

파리학파 기호학은 ‘텍스트’의 의미를 탐구하는 언어학의 분과 학문이며, 이 책은 언어학과 기호학에 관한 선행지식이 있는 독자를 위한 후기 파리학파 기호학의 개론서로 쓰였다. 그러나 파리학파 기호학이 문학, 시각예술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언어, 비언어 텍스트의 분석을 위한 방법론으로 활용되는 만큼, 이 책은 언어학/기호학 연구자 및 학생들에게는 물론이고 각종 문화콘텐츠 분석 방법에 관심을 가진 독자들에게도 반가운 책이 될 것이다.

“실행 중인 담화”로 이동한 기호학의 관점
의미 생성 과정, 그리고 연속성으로 가다

기호학의 연구 대상은 의미의 이산적 대립 구조에서 의미의 생성 중에 나타나는 긴장적이고 점진적인 차이로, 즉 의미의 ‘구조’에서 의미의 ‘생성 과정’으로 이동했다. 파리학파는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초기 이론의 혁신을 통해 구조주의 이후를 위한 이론을 정립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파리학파 기호학은 60년대에 구조주의 사상을 기반으로 출범하여, 언어학·인류학·형식논리학의 접점에서 하나의 독립된 분과 학문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80년대에 접어들면서 기존의 구조주의적 접근 방식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에 부딪히게 된다. ‘포스트 구조주의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