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사
1부 실학자와 동아시아, 교류 기록의 표(表와 리(裏
燕行 筆談의 實狀과 層位 최 식
1. 問題提起
2. 燕行 筆談의 屬性과 實狀
3. 燕行 筆談의 內容과 層位
4. 燕行 筆談 硏究에 대한 提言
조선후기 연행록의 계보적 고찰- 대구서씨가 徐有鎭의 『鍾園遊燕錄』을 중심으로 임영길
1. 머리말
2. 徐有鎭과 『鍾園遊燕錄』 저술
3. 전대 연행록의 수용 양상
4. 후대 연행록과의 관련성
5. 맺음말
후지츠카 치카시(藤塚?의 漢學과 北學派硏究의 視座- 淸朝考證學 및 東洋學과의 遠近 송호빈
1. 머리말
2. 후지츠카 연구와 후지츠카 관련 자료들
3. 淸朝考證學의 傳統과 후지츠카의 漢學
4. 東洋學의 磁場과 北學派硏究의 視座
5. 맺음말
후지츠카 지카시, 또 다른 얼굴- 고증학 과학 제국주의 정혜린
1. 문제 제기
2. 후지츠카 지카시의 고증학과 김정희의 고증학
3. 후지츠카의 고증학: 실사구시와 과학성
4. 후지츠카 지카시가 언급하지 않은 연구 관점: 제국주의
5. 맺음말
여성의 화목, 자수(刺繡- 자수 제발(題跋로 본 조선시대 여성 문예 김기완
1. 들어가며
2. 자수의 특성: 質料性合作性종합성
3. 안동 장씨 관련 자수첩 사례: 시 서 繡의 결합과 여성문예의 조건
4. 여성문예물의 유전 범위, 자수첩의 안팎: 규문에서 중국까지
5. 나가며
2부 박제가와 한 중 묵연(墨緣
『호저집』의 편집 구성과 자료 가치 정 민
1. 머리말
2. 『호저집』의 유전(流傳 경위와 소장자
3. 편자 박장암에 대하여
4. 『호저집』의 편집 원칙
5. 『호저집』의 주요 내용
6. 맺음말
『縞紵集』에 보이는 박제가의 교유와 교류 양상 박종훈
1. 들어가는 말
2. 청대 문인과의 교유 및 교류 양상 개괄
3. 청대 문인과의 교유 양상
4. 나가는 말
『縞紵集』의 編纂者 朴長의 생애와 그 편찬 의식 강진선
1. 서론
2. 朴長의 생애와 관력
3. 『호저집』 편찬의 지향과 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