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고려시대 역사서의 신이성과 삼국유사
저자 차광호
출판사 역사산책
출판일 2018-11-10
정가 22,000원
ISBN 9791196407629
수량
책을 내며 ············································································································· 3
서론 : 고려시대 사학사 연구와 새로운 모색 ····························································· 9
1. 사학사 연구의 성과와 한계 ············································································· 9
2. 사학사 연구의 새로운 모색 ··········································································· 20

제Ⅰ부 : 고려 전기의 역사서와 신이 ········································································ 29
1.「삼국사기」의 천인상관적 신이관 ··································································· 29
2. 「고려세계」의 풍수도참적 신이관 ··································································· 63

제Ⅱ부 : 고려 중기의 역사서와 신이 ········································································ 79
1. 「동명왕편」의 자주적 신이관 ········································································· 79
2.「해동고승전」의 불교적 신이관 ······································································ 94

제Ⅲ부 : 고려 후기의 역사서
서론 : 고려시대 사학사 연구와 새로운 모색

1. 사학사 연구의 성과와 한계

한 사회의 역사의식에는 구성원이 경험한 기억과 자각이 축적되어 있다. 이 의식은 지성과 감성에 기반을 두고 형성된다는 점에서 시대정신을 반영한다. 따라서 역사의식이 사회 운동으로 표출될 때, 그것은 단순히 과거를 이해하는 지식을 넘어서 현재를 살아가고 미래를 맞이하는 행동 원리가 된다.

그런데 역사의 변동기나 외부로부터 새로운 문화가 유입되는 시기에는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역사의식이 형성되어 대립과 마찰을 유발할 수 있다. 역사의식이 사회적으로 정착되는 단계에 이르면 기득권층의 이해관계와 밀착되는데, 변화를 통해서 새로 등장한 역사의식은 기득권층에 대한 위협과 도전으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역으로 새로운 역사의식이 새로 등장한 기득권층과 유착하며 사회적으로 빠르게 확산 될 경우 기존의 역사의식은 전통 문화 일반을 끌어안는 포용성을 보이며 견제력과 존재감을 높인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고려시대의 역사의식 동향은 주목된다.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는 화려한 귀족 문화를 꽃피우며 전성기를 이룩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펼쳐진 거란과 여진과의 전쟁은 고려인의 역사의식을 한층 자극해 민족사적 관점에서 문명의 자부심을 표출하게 하였다. 이후 귀족사회의 분위기가 만연해지는 가운데 보수적이며 사대적인 역사의식이 출현하였지만, 그 속에는 동아시아 유교 문화권의 일원으로서 더욱 원숙해진 고려인의 지성이 반영되어 있었다.

12세기 말의 무신정변으로 무신이 새로운 지배세력으로 등장하였는데, 고려 전기에 구축한 귀족 문화의 기반은 무너졌고 유학을 중심을 한 학문은 크게 위축하였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이전의 보수성과 사대성을 극복하려는 새로운 역사의식의 맹아(萌芽가 움트고 있었다. 특히 대몽항쟁을 경험하면서 고양된 민족의식은 역사의식의 싹을 성장시켜 한층 더 높은 차원에서 꽃피우게 하는 자양분이 되었다. 이어지는 원 간섭 초기의 자주적인 역사의식은 바로 이러한 시대 흐름에서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