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나당전쟁 : 건곤일척의 승부
저자 이상훈
출판사 역사산책
출판일 2023-09-06
정가 18,000원
ISBN 9791190429320
수량

책을 펴내며 4
프롤로그 12

1부 나당전쟁의 전개

1장 불타는 사비성과 평양성 21
2장 불만과 불신의 시대 31
3장 신라의 전쟁 준비 41
4장 신라의 선제공격 52
5장 고구려 부흥운동과 신라 62
6장 석성 전투와 웅진도독부 72
7장 신라 수군의 활동 83
8장 당군의 남하와 석문 전투 89
9장 신라의 총체적 위기 97
10장 신라의 방어 체계 강화 106
11장 나당 간 숨 고르기 112
12장 결전을 향해 120
13장 매소성 전투와 신라의 승리 130
14장 기벌포 전투와 당군의 철수 140
15장 전쟁의 종결과 전후 수습 149

2부 나당전쟁의 이해

1장 나당전쟁과 삼국통일전쟁을 어떻게 불러야 할까 161
2장 한반도 방기론과 종번론은 무엇일까 169
3장 나당전쟁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177
4장 신라는 백제만 통합하려 하였을까 183
5장 나당전쟁 개전 시점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 189
6장 말갈병 참전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195
7장 번장과 객장의 의미는 무엇일까 201
8장 나당전쟁기 상처 치료는 어떻게 하였을까 206
9장 구진천이 제작한 노는 무엇이었을까 212
10장 신라는 전쟁 포로를 어떻게 활용하였을까 218
11장 문두루 비법은 실제 존재하였을까 224
12장 경주의 월지와 월성은 어떤 관계였을까 230
13장 매소성 전투를 둘러싼 문제는 무엇일까 236
14장 신라는 왜 전쟁 중에 인장을 배포하였을까 245
15장 기벌포 전투는 과연 허구일까 251
16장 나당전쟁기 당의 군사 전략은 무엇이었을까 257
17장 당의 군사 전략은 언제 토번 중심으로 변화하였을까 266
18장 신라의 군사 동원 능력은 어떠하였을까 273
19장 신라의 전략과 승리 요인은 무엇이었을까 280
20장 나당전쟁 승리의 의의는 무엇일까 288

에필로그 292
참고문헌 302
책을 펴내며

나당전쟁羅唐戰爭(670~676은 약소국 신라가 최강대국 당을 상대로 7년간 벌인 전쟁이다. 당에게는 여러 전장戰場 중 하나였지만 신라에게는 전부였다. 다시 말해 신라는 국가의 명운을 걸고 ‘건곤일척乾坤一擲’의 승부수를 던진 셈이었다. 나당전쟁은 삼국통일의 마지막 단계로, 이 전쟁에서 신라가 승리함으로써 통일신라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최근 신라의 ‘삼국통일’이 아니라 ‘백제 통합’에 불과하며, 우리의 진정한 통일은 고려에 의한 통일이라는 주장이 역사학계에서 제기되고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설인귀서薛仁貴書」에는 당이 신라 영토로 인정하는 범위가 서술되어 있다. 바로 “평양 이남平壤以南 백제 토지百濟土地”라는 표현이다. ‘삼국통일’ 입장에서는 ‘평양 이남의 고구려 토지와 백제 토지’로 이해하고, ‘백제 통합’ 입장에서는 ‘평양 이남의 백제 토지’만으로 한정한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보자. 백제 토지는 당연히 평양 이남이다. 수백 년간 전쟁을 해온 신라나 당이 백제 토지가 어딘지 모를 리 없다. ‘평양 이남의 백제 토지’가 성립하려면, 평양 이북의 백제 토지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런데 백제는 평양 이북에 토지를 소유한 적이 없다. 일례로 ‘의주 이남의 신라 토지’나 ‘압록강 이남의 신라 토지’라는 말이 성립할 수 있을까? 신라 토지를 지칭할 때 의주나 압록강은 불필요한 단어다. 임진강 이남의 신라 토지라면 모를까, 의주나 압록강은 또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설인귀서」가 작성된 시기는 나당전쟁이 한창이던 7세기다. 7세기에 백제는 대동강 이남을 점유한 적이 없다. 이 지역은 당연히 고구려 영토였다. 고구려는 5세기에 평양 지역으로 천도했고, 평양 이남 황해도 지역은 수백 년간 고구려의 핵심 영토였다.

당 입장에서 신라에게 백제 토지를 준다고 할 경우, 그냥 ‘백제 토지’라고 하면 된다. 그런데 굳이 ‘평양 이남’을 추가한 이유는 무엇일까? 당에게는 백제 토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고구려 수도였던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