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언
국왕 리더십의 이상과 실제 7
1부
국운 융성의 리더십 17
Ⅰ. 왕업 개창 19
1. 태조와 조선 건국 19
2. 태종과 육조체제 31
Ⅱ. 국운 융성과 문화 창달 44
1. 성종과 <경국대전>·<국조오례의> 44
2. 영조와 <속대전>·<속오례의> 58
Ⅲ. 제국의 탄생 71
1. 고종과 대한제국 72
2. 황제와 환구단 84
2부
민생 안정의 리더십 97
Ⅰ. 농업 경영의 합리화 99
1. 세종과 <농사직설> 99
2. 정조의 농서대전(農書大全 기획 107
Ⅱ. 수취 제도의 혁신 116
1. 세종의 공납제 116
2. 숙종의 대동법 124
Ⅲ. 군역 제도의 혁신 132
1. 영조의 균역법 132
2. 정조의 노비제 혁파 논의 141
3부
인재 양성의 리더십 149
Ⅰ. 인재 양성의 기반 마련 153
1. 태종과 과거 153
2. 세종과 관학 162
Ⅱ. 인재 양성의 중흥 174
1. 성종과 문신 정시 174
2. 중종과 사가독서 181
Ⅲ. 새로운 인재 양성의 길 192
1. 영조와 유생 과시 192
2. 정조와 초계문신 201
4부
군사 운용의 리더십 211
Ⅰ. 부국강병을 향한 새 군제 도입 213
1. 문종과 오위제 213
2. 선조와 훈련도감 223
Ⅱ. 국력의 발휘 235
1. 광해군과 심하 전투 235
2. 효종과 나선정벌 248
Ⅲ. 국정의 안정 260
1. 명종과 도적 260
2. 인조와 이괄의 난 271
3. 영조와 이인좌의 난 280
5부
복식으로 본 문화 창출의 리더십 289
Ⅰ. 새 시대를 여는 관복 294
1. 태종과 면복 294
2. 세종과 의례복 300
3. 성종과 관복 313
Ⅱ. 풍속을 바꾼 복식 324
1. 중종과 비단 324
2. 인조와 체발 333
3. 영조와 족두리 339
Ⅲ. 백성의 풍요와 나라의 안위를 생각하다 351
1. 성종과 양잠 351
2. 정조와 군복 361
국왕 리더십의 이상과 실제
본서는 ‘조선 국왕의 리더십과 소통’이라는 연구 시리즈의 마지막 책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조선 왕조가 500년 이상 장구한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었던 원인으로 국왕의 리더십이 어떻게 작용하였고, 국왕이 사회 각 계층과 맺었던 소통 방식은 어떠하였는지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 시리즈는 4부작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조선시대 국왕 리더십 관觀」에서는 국왕의 리더십에 대한 인식을 중국이나 일본의 리더십과 비교하여 정리하였고, 「국왕과 양반의 소통 구조」와 「국왕과 민의 소통 방식」에서는 국왕이 핵심 지배층인 양반과 주요 피지배층인 민과 맺었던 소통방식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서인 「국왕 리더십의 유형과 실제」에서는 국왕의 리더십을 다섯 가지로 유형화하고, 국왕의 리더십이 국정운영의 현장에서 실제로 나타나는 모습을 정리하였다.
조선 왕조는 그 시기를 개창기, 안정기, 혼돈기, 중흥기, 쇠퇴기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시기별 상황에 따라 국왕의 리더십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본서는 국정운영에 나타나는 국왕의 리더십을 국운 융성, 민생 안정, 인재 양성, 군사 운용, 문화 창출 등 다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별로 뚜렷한 공적을 남긴 국왕의 리더십을 정리하였다. 본서에서는 조선시대 27명의 국왕 가운데 15명의 국정운영에 나타나는 리더십을 다루었다. 본서에서 다룬 국왕은 태조, 태종, 세종, 문종, 성종, 중종, 명종, 선조, 광해군, 인조, 효종, 숙종, 영조, 정조, 고종이다.
첫 번째 유형인 ‘국운 융성의 리더십’에서는 세 시기에 나타나는 국운 융성의 양상을 정리하였다. Ⅰ장은 개창기의 리더십으로, 태조는 혁명군과 건국 세력을 구성하여 조선을 개창하였고, 즉위 교서를 통해 고려 왕족을 대우하고 고려의 제도를 계승하며 조세와 형법을 공정하게 시행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태종은 태조 대에 형성된 건국 세력을 재편하면서 군 통수권을 확보하였고, 육조의 업무를 국왕에게 직접 보고하는 육조직계제六曹直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