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사회를 보는 논리 - 문지푸른책 밝은눈 3 (개정판
저자 김찬호
출판사 문학과지성사
출판일 2008-12-11
정가 15,000원
ISBN 9788932019321
수량
제1부 세상 보는 눈을 다시 보자―인식 모델의 성찰

제1장 흔들리는 터전―패러다임의 전환
흔들리는 전제들 | 한국 사회 변동의 특징 | 왜 외국인들은 한국에 공부하러 오지 않는가 | 21세기가 요구하는 능력은

제2장 앎과 삶 가로지르기―지식의 위상 점검
질문은 누가 만드는가 | 과제 중심의 종합 교육으로 | 우리의 역사 교과서에서 빠진 것들

제3장 과학이라는 언어에 대하여―객관성의 탐구
비이성적인 것들에 좌우되는 이성 | 토머스 쿤이 바라본 과학사 | 과학의 새로운 물결 | 진정한 과학 정신이란

제4장 숫자를 바로 읽으려면―통계에 대한 비판적 이해
물가 인상률, 어떻게 계산되나 | 기준과 표본 집단의 문제 | 물음 속에 숨어 있는 답 | 응답자는 얼마나 솔직할까? | 신용 잃은 한국 통계

제2부 사람과 사람 사이―공생과 교류의 관계를 위하여

제5장 정상? 비정상?―차별과 평등의 논리
문화마다 달리 채택하는 요소들 | 다양성의 참뜻 | 주변자들의 손을 잡는다

제6장 체면이라는 가면―자기 존엄의 기반
체면 유지의 고비용 구조 | 외형적 ‘차이’의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끊임없이 새로운 ‘차이’는 생상되지만…… | 자존심이라는 것

제7장 사랑은 무엇으로 이어지는가―남녀 관계의 성찰
낭만적 사랑이라는 것 | 사랑이 뭐기에

제3부 유연하게 소통하는 언어로―21세기의 사회 구상

제8장 피라미드에서 네트워크로―정보 사회의 조직 원리
관료제가 낳는 폐해들 | 불확실한 환경에 적응하려면 | 핵심은 커뮤니케이션이다 | 순환하면서 갱신되는 정보의 가치

제9장 지구촌에게 말 걸기―세계화 시대의 정체성
민족 정체성의 형성과 변천 | ‘우리’ 안에 매몰되어 있는 우리 | 종족주의의 배타성과 오만함

제10장 무엇을 위한 축제인가―문화 시대의 의미
전통 문화의 현주소는 | 삶에서 우러나오는 문화로 | 지역 이벤트에서 무엇을 얻는가

제4부 삶이 깃드는 자리는―대
삶을 이야기하면서 ‘사회’를 발견하고
사회를 탐구하면서 ‘자아’를 새롭게 만난다!

우리 사회와 문화를 논리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갖도록 하는 책 <사회를 보는 논리>가 개정판으로 새롭게 출간되었다. <사회를 보는 논리>는 2001년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된 후 7년여 동안 16쇄를 증쇄하며 탄탄한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은 청소년과 대학생의 교양 필독서. 이번 2008년 판에서는 일부 달라진 통계 수치와 급변하는 사회상을 반영하고 ‘토론’ 문제를 추가했으며, 2도 인쇄로 산뜻하게 디자인하는 등 장정을 새롭게 하여 독자들의 기대치를 반영하였다.

저자는 「개정판 서문」을 통해 이 책을 처음 집필했을 때보다 “지금은 사회에 대한 이해가 훨씬 중요해졌다”고 말한다. 우리 사회는 그간 ‘개인으로서의 시민’보다는 ‘후발 산업국가의 국민’을 성장 동력으로 삼아왔는데, 사람들이 점점 개인주의화 되어가면서 사회 현상을 읽어내는 것이 더욱 어려워졌다는 것. 특히 저자는 현재 불어 닥친 전 세계적인 경제 위기가 ‘신뢰의 붕괴’에서 비롯되었다고 진단한다. “사회가 균열되고 저마다 뿔뿔이 자기만의 이윤 추구에만 몰두하는 상황에서는, 경제의 풍요도 안정된 일상도 불가능하다. 사회를 건실하게 재건하고 그 토대 위에 개인의 삶을 유기적으로 엮어내는 것이 지금 우리에게 시급한 과제다.”(7쪽

복잡하고 점점 빨리 진화하는 21세기에도, 인간이 사회적 동물임에는 변화가 없다. 그러므로 사회 현상을 바라보면서 그 안에서 자신의 삶을 읽어내는 일, 그리고 우리가 어떤 사회를 원하는지 토론할 수 있는 언어를 던지면서 공통의 문화를 만들어나가는 일은 중요하고도 시급하다. <사회를 보는 논리> 개정판은 보다 더 상호 연관성을 가지는 사회, 그러나 점점 더 개인주의화로 치달아가는 우리 문화의 현상들을 이해하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려는 목적에서 고치고 더해진 셈이다.

다음은 급변하는 사회에서 우리가 어떻게 패러다임의 변화를 인식해야 하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어느 초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