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용어 없이 일상처럼 친근하게,
가장 쉽게 이해하는 우주의 처음과 지금, 그리고 최후
이 책의 강점은 우리은하를 의인화함으로써 어렵게 느껴지는 천체물리학 지식을 친숙한 지식에 빗대어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전달한다는 점이다. 저자는 어려운 용어들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우주에서 발생한 사건들을 우리은하의 사적인 경험으로 승화한다. 또한 이웃 은하들은 친구로, 은하 내부의 블랙홀은 내면의 부정적인 감정으로, 항성의 탄생과 죽음은 우리은하의 업무로, 은하끼리의 충돌은 사랑으로 치환한다. 그러나 누구보다 자신의 이야기를 잘 아는 우리은하의 목소리를 빌린 만큼 천체물리학의 지식은 충실하게 담았다.
이 자서전은 우리은하의 탄생 배경인 우주의 시작에서 출발한다. 우리은하를 포함해 우주의 모든 것은 빅뱅과 함께 시작되었다. 빅뱅 후 우주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원자핵의 구성 성분이 만들어지는 빅뱅 핵합성이 일어났고, 그로부터 3억 년쯤이 흐른 뒤 항성들이 형성되었다. 첫 번째 항성들이 탄생할 때 만들어진 충격파는 가스 구름을 뚫고 퍼져나가 다른 항성들이 연이어 태어나는 과정을 유도했다. 이런 과정이 수억 년 동안 반복되면서 초기 은하가 형성되었다. 130억 년 전에 어느 원시 가스 구름에서 발생한 요동이 없었다면 첫 번째 항성도, 우리은하도 탄생하지 못했을 것이고, 당연히 지구와 인류도 등장하지 못했을 것이다.
현재 우리은하의 고향에는 우리은하를 비롯한 안드로메다, 대마젤란 은하, 소마젤란 은하, 삼각형자리 은하 등의 은하들이 함께 산다. 그들은 때로 장난을 치며 서로의 항성들을 빼앗기도 하고, 다른 은하단에 있는 은하들을 궁금해하기도 한다. 우리은하는 우주의 동료 은하들을 각각의 애칭으로 부르면서 그들의 특징과 자신과의 관계를 설명하고, 인간이 그들을 어떻게 생각해왔는지까지 이야기해준다. 또한 자신의 업무인 항성 만들기, 궤도 유지하기 등을 세심하게 설명한다.
우주의 최후에 관해서는 다섯 가지 시나리오가 있다. 우리은하는 천체물리학자들이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