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한국 과학, 어디에 있나 | 전치형
키워드-숨(Exhalation
LK-99 사태, 한국 과학계는 어떻게 대응했나 | 한승용·전치형
R&D 예산 삭감, 대안은 없어… 원안대로 진행해야 | 이공주·윤신영
회색지대를 위한 과학 : 정치학자가 보는 후쿠시마 오염수 논란 | 김소영·전치형
뉴스-갓(Ansible
이 계절의 새 책 | 인공지능과 어떻게 살지 스스로 그려내려면 | 정인경
과학이슈돋보기 | 2023 노벨상, 과학의 혁신성 논의를 촉발하다 | 윤신영
글로벌 기후리포트 | ‘진화인류학자’에게 ‘기후 위기’를 묻다 | 신방실
과학뉴스전망대 | 빨간 등 더 많이 켜진 지구위험한계선 | 오철우
컬처-터(Foundation
현대미술, 과학을 분광하다 | 광학적 이미지의 황혼, 유령 망막의 여명 속에서 | 김아영
에세이 | 과학이 예술의 영감이 되는 일에 관해 | 이다혜
SF | 히치하이커 구하기 | 이산화
이슈-길(Farcast
호기심으로 하는 연구가 정말 세상을 바꿀까 | 박형주
탐구와 비평 | 과학은 기후 위기의 해법을 제시할 수 있나? 솔래스탤지아 vs. 실천적 둘러봄 | 박지형
재활의 발견 | 강아지를 부탁해 : 워크앤런 방문기 | 강미량
인류세(Anthropocene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한 데이터 기부 | 이다솜
INDEX
2023년 한국의 과학계는 어떤 모습이었나? LK-99, 연구개발 예산, 후쿠시마 오염수 등 과학자들의 집단적인 토론과 발언이 필요한 일들이 유난히 많았던 한 해였다. 에피 26호는 후쿠시마 오염수, LK-99, 연구개발 예산 문제에 대한 한국 과학계의 대응을 돌아보면서 한국 과학의 현 위치를 살핀다.
한승용, 이공주, 김소영 교수와의 인터뷰를 통해 각각 LK-99, 연구개발 예산,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를 중심으로 2023년 한 해 한국 과학계가 어떤 일을 겪었는지, 과학자들은 한국 과학의 사회적 위상과 역할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과학과 정부 또는 과학과 사회는 어떤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에 관한 생각을 물었다.
모든 인터뷰에서 두드러진 키워드는 ‘불신’이었다. 사안에 따라 정부와 과학자 그리고 시민은 한쪽을 또는 서로를 혹은 모두가 믿지 않거나 의심하는 가운데 과학적 사실을 생산, 평가, 소통하는 모든 과정에서 누가 누구를 왜 믿어야 하는지 알 수 없게 되었다. 과학은 사회적 신뢰를 바탕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불신은 과학이 제대로 작동할 수 없게 만든다. 자연히 불신을 걷어내고 과학이 제대로 작동할 사회적 신뢰를 구축해야 한다는 과제가 제기된다. 이는 과학계만의 과제가 아니다.
과학에 관한 사회적 논쟁이 많이 있었다는 것은 그만큼 과학이 인간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다는 뜻이다. 기후 위기가 대표적이다. 오늘도 착실히 기후 변화가 진행되며 우리의 미래가 잠식되고 있다는 걱정과 불안이 커진다. 신방실은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의 저자인 진화인류학자 브라이언 헤어 교수와의 인터뷰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다정함이 어떻게 기후 위기를 해소하는 힘이 될 수 있을 것인지 들려준다.
오철우는 지구의 위험 상황을 지표로 나타낸 ‘지구위험한계선’에 나타난 위험 지표가 갈수록 나빠지고 있으며, 이러다 우리가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지점을 놓치게 될 수 있음을 전달한다. 박지형은 미래의 재난에 대해 걱정할 때 생기는 감정인 ‘솔래스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