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누구나 밖이 두려워.
『너는 뭘 좋아해?』의 주인공 소피는 혼자 집에서 논다. 친구들과 어울리고 싶지만, 막상 아이들에게 다가가려고 하면 배가 아프고 목이 꽉 막힌 듯 말이 잘 나오지 않는다.
밖에 나가거나 사회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싫어하는 현상을 ‘동굴 증후군’이라고 하는데, 내성적인 아이들만 이불 밖이 두려운 게 아니다. 수줍음과 사회성 불안을 연구하는 미 스탠퍼드대 수줍음 클리닉 연구로는 전체 인류의 80퍼센트가 수줍음 때문에 사회적 활동에 어려움을 느낀다. 미국의 또 다른 조사에서는 초등학생 28퍼센트가 등교 거부를 해본 경험이 있는데, 절대적인 이유는 사회접촉에 어려움을 느꼈기 때문이다.
『너는 뭘 좋아해?』의 소피는 처음 사회와 연결을 배우는 아이로서 누구나 거치는 첫발을 조금 더 어렵게 내딛고 있는 자연스러운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아예 집 밖으로 나오려고 하지 않는 고립과 은둔형 청년들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를 거치면서 그 연령이 크게 어려지고 있다는 것이다.
─ 으르렁거려 볼까, 나는 늑대니까.
『너는 뭘 좋아해?』가 아이들과 부모들에게 건네는 처방전은 먼저 자신의 마음을 살피라는 것이다.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언제 행복한지, 어떻게 놀고 싶은지 깨닫고 그대로 받아들이고 표현하도록 한다.
소피는 늑대를 좋아하는 소녀다. 늑대에 관한 책을 읽고, 늑대 옷을 입고, 집안에 동굴을 차려 놓고 늑대 흉내를 내며 논다. 늑대는 최상위 포식자인 탓에 동화 속 늑대는 흔히 탐욕스럽고 잔인한 동물로 나왔다. 하지만 최근 여성주의 심리학에서는 카를 융의 심리학을 근거로 여성 안에 감추어진 늑대와도 같은 내면의 야생성에 귀를 기울이자는 주장도 있었다.
『너는 뭘 좋아해?』도 수줍어하고 친구를 사귀기 어려워하는 소녀 소피 안에 있는 야생 늑대 같은 모습을 클로즈업한다.
그런데 늑대들은 쉽게 다가와 친구가 되고, 자기보다 덩치 큰 동물에게도 덤빌 정도로 용맹스럽지만 무리에서 떨어져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