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통감이 명저인 이유
첫째, 간략하지만 빠뜨림 없이 과거 역사 서적을 정리하여 새로운 역사서술 방향을 제시했다.
둘째,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역사 속 인물과 사건을 마치 하나의 역서 소설처럼 기술했다.
셋째,‘영원한 인생 교과서’로 불릴 정도로 많은 이에게 교훈을 전해준다.
“상감께서 경회루에 직접 나가시어 합격자 네 명을 불러오도록 명령하였다. 그리고 이들에게 ≪계몽(啓蒙≫ 과 ≪중용(中庸≫ 을 강론하게 하였는데, 최자빈(崔自賓과 이맹현(李孟賢은 이 두 책을 두루 잘 알고 있었다. 세종이≪자치통감≫을 강론하게 하고서 이들에게 질문을 던졌다. 한나라시대에 고조(高祖와 항우(項羽 가운데 누가 더 올바르고 위대하였는가? 하니 최자빈은 항우가 정대(正大하다고 하였고, 이맹현은 한 고조가 더 정대하다고 하였다. 이 말을 듣고 세종은 이맹현을 으뜸으로 정하였다.”
≪증보문헌비고≫에 나오는 기록 중에서
= 자치통감은 어떤 책인가
≪자치통감(資治通鑑≫은 송나라 때의 사마광(司馬光, 1019~1086이 쓴 편년체(編年體 통사(通史이다. ≪자치통감≫이라는 말을 해석한다면‘정치에 자료가 되는 통시대적(通時代的으로 거울이 될 만한 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이름은 송(宋의 영종(英宗이 붙여주었다. 처음에 사마광이 ≪통지(通志≫라는 이름으로 8권 분량의 역사저술을 지어서 영종에게 바쳤는데, 영종이 ≪자치통감≫이라는 서명을 하사(下賜하였던 것이다.
이 책은 주(周나라 위열왕(威烈王 23년(기원전 403년부터 쓰기 시작하였다. 위열왕이 즉위하는 해부터 쓰기 시작한 것도 아니고 그 중간에서부터 쓰기 시작한 데는 상당한 의미가 있다. 사마광은 송대에 제왕 노릇을 한 일이 없으면서도 문선왕(文宣王으로까지 존경되었던 공자의 뒤를 잇는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던 것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자치통감≫은 공자가 써서 경전(經典이 된 ≪춘추(春秋≫가 끝나는 시기를 이어 받아서 쓰기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