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5
서론 21
―이성의 형태 22
1장 라캉의 이론과 진단에 대한 다차원적·위상학적 접근 69
도입 71 | 라캉의 이론과 『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 75 | 정신의학과 정신분석의 진단에 대한 라캉 이론의 기여 81 | 구조적 편집증과 메타노이아 88 | 두 가지 분열: 신경증적 투사, 정신증적 투사적 동일시, 폐제 100 | 히스테리와 정신증 120 | 실재 “혼자”의 주체 137 | 양극성 장애의 의학적 역사 145 | 조울증의 정신분석적 이해 147 | 사례 156 | 진단(DSM-IV 159 | 사례의 논의 161 | 결론 163
2장 욕망의 그래프에서 의미화의 연쇄(들 167
소개 167 | 그래프와 질문들 169 | 그래프의 첫 번째 수준 172 | 그래프의 두 번째 수준 175 | 이상적 자아에서 자아로 179 | 결론 219
3장 정신분석의 임상적 증거, 표준과 비표준 프레임, 순수·응용 정신분석의 질문 223
정신분석에서 증거의 개념 226 | 치료 방법으로서 정신분석의 비효율성에 관한 보급 편향 238 | 표준과 비표준 프레임 251 | 사례 254 | 결론 261
4장 예비 세션과 고려 사항 271
5장 단일 프레임, 논리적 시간, 세션의 절분 279
전이 내부와 전이 외부의 조언의 차이 296
6장 알고 있다고 가정된 주체, 사랑과 증오, 그리고 부정적 전이 301
부정적 전이 318
7장 분석가의 [존재] 지불과 치료의 방향 357
8장 해석, 구두점, 인용 그리고 말의 절분 371
1. 지로부터 지로의 진행 390 | 2. 미지로부터 지로의 진행 390 | 3. 미지로부터 미지로의 진행 391
9장 분석가의 저항과 욕망 그리고 역전이 문제 395
분석가의 저항 395 | 증상 399 | 분석가의 중립성의 계산된 동요 또는 전략적 동요 401 | 일자 존재의 핵심의 세 번째 지불-분석가의 욕망과 메타윤리학 및 실재의 윤리 403 | 분석가의 욕망과 역전이의
정신분석학의 이론은 실천과 분리될 수 없다
“나는 자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는 실천(practice과 기술(technique이 실제로는 서로 다른 형태의 이성에서 파생된 두 가지 다른 개념을 대표한다고 제안한다. 정신분석에서 실천은 기술적 합리성이 아닌 분석적 행위로서의 실재의 실천이다. 기술은 정보만 포함하지만, 실천은 인간의 주체성(subjectivity과 심리적이고 정신적인 경험을 포함한다.” (14쪽
‘정신분석 실천’은 정신 건강 분야의 흔한 사례들처럼 기술자나 전문가가 이론적 지식을 무시하고 실천할 수 있는 쉬운 형태의 응용 정신분석이 아니다. 요컨대 이론 정신분석은 분석적 실천과 완전히 분리될 수 없다. 이론과 실천의 분리는 자칫 정신분석의 사적인 실천을 고립시킬 수 있고, 그것은 또한 이론의 빈곤과 함께 기술 자체의 빈곤으로 이어진다.
라캉의 이론이 어느 시점부터는 추상적이더라도 항상 분석가를 염두에 두고 전달되거나 분석적 실천과 관련하여 생각된 점을 감안할 때, 그는 실천이 없는 이론이나 체계적인 관계가 없는 이론에 의한 실천 등 정신분석계의 상황을 못마땅하게 볼 것이 분명하다. 라캉에 따르면, 이론이 없거나 과학 이론이나 서양 사상의 역사와 연결되지 않는 순전히 기술적 절차로서의 심리치료는 응용 정신분석이 될 수 없다. 응용 정신분석은 이론을 ‘전문가’에게만 맡기는 이론이 결여된 실천이 아니다. 그것은 개인 실천이나 표준 프레임뿐만 아니라 실제로 다양한 형식과 환경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이론의 실천이다.
정신분석에서의 ‘실천’이란
앞서 말했듯, 정신분석의 실천이란 반드시 기술적 합리성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그것은 언어나 수학적 정보뿐만 아니라 인간의 주체성, 욕망의 주체적 진리, 심리적 및 정신적 경험, 주체 자신의 존재에 뿌리를 둔 ‘자유롭게 떠도는 주의(attention’를 포함한다. 이는 사례를 논의할 때, 분석가가 윤리적·실천적 관점에서 임상적 자료들을 계속해서 위장하고 수정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정신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