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정치양극화 시대 한국 민주주의의 발전 방안 (양장
저자 정해구, 박상훈, 박현석, 서정건, 유태영, 윤광일, 박경미, 구본상, 강우진, 임성근, 이광희, 류현숙, 박준, 하상응, 최준영, 지병근, 정재관, 장승진, 최상한, 장선화, 이재묵, 이선우, 이상신, 윤왕희
출판사 박영사
출판일 2023-09-08
정가 35,000원
ISBN 9791130318677
수량
제1장 서론: 정치양극화,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제1부 정치양극화와 민주적 공론장의 쇠퇴
제2장 정치 세대 집단과 정체성 그리고 한국 민주주의 과제
제3장 젠더균열: 젠더갈등과 정치적 동원
제4장 경제불평등과 정치과정: 민주주의 대표성의 문제
제5장 수도권과 비수도권 다중 격차의 정치적 결과: 청년 공정성 인식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제6장 균열과 양극화를 증폭시키는 미디어

제2부 정치양극화 극복을 위한 권력구조와 의회제도 개혁
제7장 더 많은 민주주의 시대의 협치
제8장 정치양극화 극복을 위한 권력구조 개편
제9장 국회 의사 결정 구조의 현황과 개선 방안: 미국 의회와 비교를 중심으로
제10장 1국회 입법·정책 지원기구의 현황 및 의회정치 발전을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들

제3부 정치양극화 극복을 위한 선거제도 개혁
제11장 한국 선거제도 및 정당체계 개혁
제12장 선거구 획정제도 개혁

제4부 정치양극화 극복을 위한 정당정치 개혁
제13장 정당법과 정당조직 체계
제14장 한국 정당조직 현황과 과제: 정당-유권자 연계 회복을 위한 지역 정당조직 활성화
제15장 만들어진 당원: 우리는 어떻게 1천만 당원을 가진 나라가 되었나?
제16장 정당 공천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제17장 양극화 완화를 위한 정책정당 육성 방안

제5부 결론: 국회의원 집담회 논의 결과
제18장 제도적 정합성의 관점에서 본 정치양극화 극복을 위한 통합적 대안들
제19장 정치양극화 해소를 위한 정치개혁 실행전략

에필로그
경제·인문사회연구회의 지원으로 한국행정연구원과 한국정당학회가 공동으로 수행한 협동과제 ‘정치양극화 시대 한국민주주의 발전 방안’이 이렇게 단행본으로 출간된 것을 참으로 기쁘게 생각합니다. 특히, 본 연구는 헌정 사상 최초로 국책연구기관의 연구진이 국회와의 협업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습니다. 한국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시의적절한 연구주제를 공동제안해 주신 국민의힘 이명수 의원님과 최형두 의원님, 더불어민주당 김종민 의원님과 김영배 의원님, 정의당 이은주 의원님, 그리고 시대전환 조정훈 의원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바쁜 의정활동 중에도 집담회, 세미나 등 연구과정에 참여해 주신 30명이 넘는 여야 의원님들께도 깊이 감사드립니다.
1987년 이후 우리나라 국민들이 선택한 네 번의 여야 간 평화적 정권교체는 한국의 민주주의가 정치적 자유와 경쟁 측면에서 어느 정도 공고화되었음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다수 국민들의 삶의 질과 관련해 실질적인 의미를 갖는 민주주의의 정책적 성과는 매우 취약합니다. 1997년 IMF 위기 이후 26년이 지났지만, 한국의 민주주의는 아직도 신자유주의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소득과 부의 양극화,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 첨단산업과 전통산업 간 일자리 양극화, 첨단산업에서조차 사라지지 않고 있는 장시간 노동의 관행, 막대한 사교육비 부담으로 인해 교육이 계층이동의 사다리가 아니라 지위 세습의 통로가 되는 현실 등 국민들의 삶의 질을 악화시키고 비혼·저출산을 유발하는 여러 사회·경제적 불균형 문제는 지금까지 우리가 이룩한 형식적 민주주의의 발전이 과연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민주주의였는지 물음표를 던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이처럼 국민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의 민주주의가 된 배경에는 한국정치의 고질적 병폐인 정치양극화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지역주의에 기반한 4개 정당체제가 1990년 3당 합당을 통해 재편된 이후 한국민주주의는 거대 양당 중심의 대결적 정치구조가 지배해 왔습니다. 이러한 대결적 정치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