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v
1장 머리말1
1.1. 연구 동기와 목적1
1.2. 연구 방법 및 범위4
1.2.1. 역사언어학의 담론과 맥락4
1.2.2. ≪조선왕조실록≫을 통한 접근 방법9
1.3. 연구사 개관14
2장 언문 관?련 용어로 본 언문 사용 양상과 의의21
2.1. 주제어 선정의 의미21
2.2. 주제어 국역의 문제42
2.3. ‘언문’의 사용 양상과 맥락적 의미46
3장 언문의 제도적 사용과 의의 57
3.1. 기관, 법, 제도 측면의 언문 사용과 의의59
3.2. 왕과 사대부 관리층의 제도적 사용과 의의 64
3.3. 왕실 여성의 제도적 언문 사용과 의의76
3.3.1. 권력 측면의 사용과 의의77
3.3.2. 지배 계층 남성과의 소통 수단적 사용과 의의84
3.4. 그 밖의 제도적 언문 사용과 의의88
3.4.1. 임금의 행정 문서 사용과 교육 제도88
3.4.2. 국가 정책용 사용과 의의94
3.4.3. 외교 문서의 사용과 의의100
3.5. 백성들의 언문 사용과 의의102
3.5.1. 제도적 언문 사용과 의의103
3.5.2. 언문의 반제도적 사용과 의의110
4장 시기(왕별 언문 사용과 의의117
5장 맺음말159
참고문헌163
Abstract171
부록175
1. ≪조선왕조실록≫에 나오는 ‘언문’ 관련 기사 제목과 사건 요약 서지 정보177
2. 세기별 언문사건 연표269
출판사 서평
안녕하셨습니까? 세계문화유산 훈민정음에 대한 획기적인 연구결과를 담은 새 책이 나왔기에 소개 드립니다.
▶ 핵심 결론
조선왕조실록은 철저히 지배층 중심의 역사 기록이다. 이 기록을 통하여 우리는 조선시대에 언문을 어떻게 사용해 왔는가를 지배층의 관점을 중심으로 제대로 파악할 수 있었다. 언문과 직접 관련된 947건의 목록 자체가 언문 사용 양상과 의미를 보여 준다. 그간 ‘진서 ↔ 언문’으로 표상되는 단순 대립된 의미로 인식하는 문제를 바로잡을 수 있게 되었고 문법사 위주 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는 ‘...
안녕하셨습니까? 세계문화유산 훈민정음에 대한 획기적인 연구결과를 담은 새 책이 나왔기에 소개 드립니다.
▶ 핵심 결론
조선왕조실록은 철저히 지배층 중심의 역사 기록이다. 이 기록을 통하여 우리는 조선시대에 언문을 어떻게 사용해 왔는가를 지배층의 관점을 중심으로 제대로 파악할 수 있었다. 언문과 직접 관련된 947건의 목록 자체가 언문 사용 양상과 의미를 보여 준다. 그간 ‘진서 ↔ 언문’으로 표상되는 단순 대립된 의미로 인식하는 문제를 바로잡을 수 있게 되었고 문법사 위주 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는 ‘언문’ 창제 이후에는 다중 공용문자 사회로서, ‘언문’은 국가가 제정한 다중 공용문자 중의 하나였다. ‘언문’은 전체적으로 보면 ‘한문’에 비해 공용문자로서의 비중은 낮았지만 교화 정책과 실용 정책 측면에서는 한문과는 비교가 안 되는 비중을 지닌 공식 문자였다. 이는 언문이 단지 한문의 보조 차원의 문자라기보다는, 한문과는 역할이 다른 문자라는 것을 보여 준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보면 한자가 주류 문자였지만 관점과 기준을 달리하면 주류, 비주류는 바뀔 수도 있다. 이를테면 백성 교화 측면에서는 언문이 주류 문자이고 한문이 비주류 문자이다. 또한 왕실 여성에게는 언문이 주류 문자이고 한문이 비주류 문자이다.
이런 중심 논지에 따라 이 연구에서 새롭게 밝혔거나 강조된 내용을 각 장별로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