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5
서론 ····················································································· 11
균형발전 메커니즘 · 13 | 지방은 스스로 망한다 · 17 | ‘메트로’ 권력과 내부자들 · 19 | ‘메트로’ 발전 연금술 · 21
1. 공간 양극화 ······································································ 23
‘두 번째 분단’ · 28 | ‘남방한계선’ 판교 · 30 | ‘기러기 엄마’와 ‘가시고기 아빠’ · 32 | 이종범과 이정후; 광주와 서울 · 36 | 서울은 갑이고 지방은 을이다 ·39 | 새로운 모순; 지방은 식민지다! · 46 | 내부 식민지 메카니즘 · 51 | 극과 극; 서울과 지방 · 55 | 빈집 공포와 유령 마을 · 58 | ‘청년회장=노인회장’ · 61 | 지방독립투사 강준만 · 64
2. 몰림과 쏠림의 이론 ···························································· 69
호텔링 게임; 한곳으로 몰린다! · 75 | 지배전략의 폐해 · 80 | 집적경제 · 89 | 역선택; 망하는 공식 · 92 | 불균형보다 균형이 문제다 · 97 | 모두 ‘제로섬’게임이다 · 102 | 정보폭포와 군집행동 · 109 | 실러의 이론; 비이성적 과열 · 113 | 깨진 유리창 이론 · 116 | 투표를 발로 한다; Foot Voting · 119
3. 서울의 승리 ···································································· 125
특별한 도시, ‘서울특별시’ · 127 | ‘서울’이라는 정신문화 · 129 |
메트로의 경제학;
메가시티, 어떻게 성공할 것인가
‘메트로 이코노미’. 생소할 것이다. 그러나 ‘메트로(metro’가 메트로폴리탄(metropolitan의 준말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그리 낯선 개념으로 생각되지는 않을 것이다. 말 그대로 ‘메트로’는 거대도시를 표현한다. 거기에 ‘이코노미(economy’를 이어붙여 ‘메트로의 경제학’이란 개념이 성립된다. 적어도 한국 사회에서는 아직 누구도 사용하지 않은, 저자만의 독특한 개념이다.
저자는 메트로 이코노미에 대해 ‘몰림과 쏠림’의 결과라고 정의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주로 ‘몰림과 쏠림’에 따른 ‘경제성’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몰림과 쏠림이 발생시키는 ‘집적 이익(agglomeration’에 대해 얘기한다. 그렇다면 ‘집적 이익’은 뭘까? 저자는 ‘몰림과 쏠림’의 결과로써 얻어지는 이득으로 정리한다.
지금 한국은 ‘메가 서울’이 큰 이슈이다. 반세기에 걸친 산업화 과정에서의 수도권 집중을 넘어 21세기 한국은 모든 것이 아예 서울로 몰리고 쏠린다. 오늘날 평균적 한국인의 욕망은 ‘전적으로’ 서울을 향하고 있다. 더러 ‘전원일기’를 상상하며 시골 또는 농촌에 살고 싶다고 말하는 이들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은 그것도 시골에 ‘살고 싶다’는 뜻이지 ‘살겠다’는 다짐이 아니다. 궁벽한 시골보다 ‘메트로’ 서울에 살면 좋은 게 많아서다. 세련되고 편리한 것들, 바로 그 ‘좋은 것’들이 나에게 ‘집적 이익’을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몰림’과 ‘쏠림’의 DNA, 한국인의 경제학
몰림과 쏠림은 자연스럽다. 사람들이 많이 모일수록 생산도 많아지고 소비도 많아진다. 즉 시장이 커진다. 더 큰 이윤을 만들어낼 기회가 열리고 그 ‘더 큰 이윤’을 위해 더 많이 노력할 유인이 발생한다. 그 노력은 혁신으로 이어진다. 사람들이 많아지면 똑똑한 사람들도 더 많이 섞이게 된다. 그들 중심으로 새로운 지식이 만들어지고 전파된다. 그 결과 생산성이 높아지고 임금수준도 올라간다. 따라서 사람들이 더욱 몰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