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대한민국은 성공, 사회는 위기?
제1장 대한민국은 성공, 국력은 세계 6위 20
영국 5위, 한국 6위, 프랑스 7위, 일본 8위 20
동아시아 주변국에서 세계의 중심국으로 도약 21
제2장 자살, 우리 사회를 읽는 유행 코드 23
1997년말 외환위기 등 경제위기 때마다 자살률 폭등 23
10~20대 자살률, 4년 만에 40% 증가 26
2030세대 22.5% 자살 시도 28
자살예비군 급증이 핵심 포인트 29
50대 이상 남성 노인 자살률이 높다 30
2027년까지 자살률 30% 줄이겠다? 32
지난 8년간 출생신고 안 된 아기 2236명 33
자살자 통계, 신뢰할 수 있을까? 34
학생과 청소년 자살, 교육부와 경찰청 통계가 다르다 36
자살하면 모든 게 해결된다? 37
제3장 자살, 복합적인 사회병리현상 38
‘묻지마 살인’ 급증, 길거리 다니기 겁난다 38
“사람을 죽여보고 싶었습니다” 40
부산 돌려차기 사건 40
스물셋 초등 교사의 안타까운 죽음, 무너진 교권 41
경제위기 넘어 사회위기로 44
인스타그램, ‘호텔 프로포즈’ 치면 해시태그(#가 4만4000개 45
삶의 가치 1위 응답도 ‘경제적 능력’ 46
인간이 돈의 주인? 돈이 인간의 주인! 48
한국인의 최애最愛 가치는 ‘돈’ 50
행복학의 권위자 에드 디너 교수 52
“도움 받을 가족?친구 있는가?” OECD 가입국 중 ‘꼴찌’ 53
돈만 있으면 행복하다? 55
정신적 불행이 일상화된 사회? 56
제4장 자살 시도자들의 증언 58
자살 시도자 인터뷰 59
외아들의 자살 60
“한 번도 아픔을 말한 적 없다” 62
자살 시도했던 J양, 더 이상 자살을 생각하지 않는다 64
죽음을 정확하게 가르치는 것, 자살예방의 토대 65
/제2부/
왜 자살해서는 안되는가
제1장“왜 자살하면 안되나요? 정말 궁금합니다.” 70
자살자, 죽음을 어떻게 이해했는가 71
A 죽는 게 사는 것보다 낫다 73
B 세
자살예비군 급증이 핵심 포인트
우리 사회는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자살률이 증가해 2003년부터 OECD 가입국 중 1위를 오랫동안 기록하고 있는데, 경제적, 사회적 상황의 악화로 인해 자살 충동자가 양산되고 있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2011년 2030세대 성인남녀 1,83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는 충격적이다. 22.5%는 “실제로 자살을 시도해봤다”고 응답했고, 63.3%는 스트레스가 심각한 상태라 답했다. 또 한국대학생교육협의회가 2018년 대학생 2600명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자살위험군이 14.3%에 달했다. 불안증상은 74.5%, 우울증상은 42.3%가 앓고 있었다. 자살자가 2021년 1만 3,352명, 2022년 1만 2,906명이었는데, 자살자 13,000여 명은 사실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문제의 핵심은 자살률 증가가 아니라 자살 충동자와 시도자, 즉 자살예비군의 양산이기 때문이다.
자살하면 모든 게 해결된다?
자살은 개인적 고민과 사회문제가 원인으로 작용한다. 개인의 고민과 사회병리현상은 당사자가 원하는 대로 해결해 주는 것은 쉽지 않다. 또한 사람들은 개인적 고민이나 사회적 문제만으로 자살하는 게 아니다. 자살에 또 다른 원인이 있다. 우리 사회에는 살다가 힘들면 자살이 해결책이라도 되는 듯이 생각하는 사람 들이 많다. “죽으면 다 끝나니까, 자살하면 삶의 고통에서 벗어난다. 자기 판단에 따라 자살해도 된다.” 자 살을 시도하는 사람들은 “죽으면 모든 것이 해결된다”는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있다. 개인적 고민이나 사회 적 문제 이외에, 자살과 죽음에 대한 오해도 자살을 부추긴다. “자살은 해결책이 아니다. 죽는다고 고통에 서 벗어나는 게 아니다.” 이런 사실을 우리 사회에서 누가 차분히 설득력 있게 말할 수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