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고전시가의 돈호법 연구
I. 서 론__3
II. 돈호법의 실현 방식과 담화론적 범주__8
1. 시적 제시 형식으로서의 돈호법__8
1.1 주제적 부름__10
1.2 서정적 부름__14
2. 소통모델로서의 시적 담화__16
2.1 주제적 양식__20
2.2 서정적 양식__25
III. 고전시가 돈호법의 두 양상__30
1. 돈호법의 담화적 전제__30
1.1 외향 돈호법의 담화적 전제: 화청자간의 작품 외적 관계 초점화__30
1.2 내향 돈호법: 화청자의 작품 내적 관계 초점화__48
2. 돈호법의 대상 인식__64
2.1 외향 돈호법: 의지 실현적 대상__64
2.2 내향 돈호법: 情操 표출적 대상__80
3. 돈호법으로 본 시적 동일화의 방식__107
3.1 외향 돈호법 : 재구성된 현실의 작품 외적 치환__113
3.2 내향 돈호법 : 재구성된 현실의 작품 내적 해소__125
IV. 돈호법의 지속상과 변이상__143
1. 돈호법의 지속상__143
1.1 시적 존재양식으로서의 돈호법__143
1.2 두 가지 돈호법의 지속적 양상__149
2. 돈호법의 변이상__160
V. 결 론__168
참고문헌__175
2. 고전시가 돈호법의 몇 가지 국면
__183
1. 머리말__183
2. 환유적 형상화__184
3. 二重의 祈願__189
3.1 직접적 관계__190
3.2 간접적 관계__191
4. 사물과의 交融__193
5. 맺음말__195
__196
1. 서론__196
2. 시적 담화의 전달방식의 특성과 주제적 양식__197
2.1 전달방식을 통한 시적 담화의 두 양식__197
2.2 주제적 양식의 담화적 전제__200
3. 주제적 양식의 古詩歌 검토__204
3.1 상고시가의 경우__204
3.2 향가의 경우__205
3.3 고려속요의 경우__210
3.4 시조의 경우__213
4. 결론: 주제적 양식의 詩歌史的 意味__218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