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3
1.1. 연구 목적 13
1.2. 연구 방법 15
1.3. 연구사 16
1.4. 자료 17
1.5. 논의의 구성 22
2. 음운체계 25
2.1. 현대 의주방언의 음운체계 25
2.2. 19세기 후기 의주방언의 음운체계? 39
2.3. 음운체계의 변화 63
3. 형태소 내부에서의 음운현상 83
3.1. 교체 83
3.2. 탈락 94
4. 파생과 복합에서의 음운현상 107
4.1. 교체 107
4.2. 탈락 118
4.3. 축약 124
4.3.1. 폐쇄음과 ㅎ의 축약 124
4.3.2. ㅎ과 평장애음의 축약 125
5. 곡용과 활용에서의 음운현상 127
5.1. 교체 127
5.2. 첨가 162
5.3. 탈락 166
5.4. 축약 181
6. 결론 183
6.1. 음운체계 184
6.2. 음운현상 186
참고문헌 190
부록 : 용언활용표 198
출판사 서평
방언에 대한 연구는 일찍부터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여러 가지 이유로 연구 대상지역이 제한되었다. 중부방언은 표준어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이유로 다른 방언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루어졌다.
북한 지역은 정치적인 이유로 방언연구에서 완전히 제외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온전한 모습의 국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이 지역도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다. 서북방언의 여러 지역 중 의주 지역은 19세기 후기의 이 방언이 반영된 Corean Primer가 있다는 면에서 관심이 가지고, 의주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현재의 언어와 Corean Pr...
방언에 대한 연구는 일찍부터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여러 가지 이유로 연구 대상지역이 제한되었다. 중부방언은 표준어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이유로 다른 방언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루어졌다.
북한 지역은 정치적인 이유로 방언연구에서 완전히 제외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온전한 모습의 국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이 지역도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다. 서북방언의 여러 지역 중 의주 지역은 19세기 후기의 이 방언이 반영된 Corean Primer가 있다는 면에서 관심이 가지고, 의주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현재의 언어와 Corean Primer에 반영된 언어를 비교하기로 하였다.
이러한 의도에서 이 책에서는 의주방언의 현재 상태를 서술하고, 19세기 후기의 의주방언과 비교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국어의 연구 대상 지역이 확장되고, 국어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기를 바란다. 또한 짧은 기간이지만 변화의 양상까지 살펴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