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제1부 총론
제1장 중국불교의 개요와 특색 오카베 가즈오岡部和雄
제1절 중국불교란
제2절 중국불교 연구방법
제3절 시대구분에 대하여
제4절 한역대장경漢譯大藏經
제5절 중국불교의 독자성
제6절 중국불교사(특히 통사에 대하여
제2장 격의格義와 삼교교섭三敎交涉 이토 다카토시伊藤隆壽
제1절 격의格義에 대하여
제2절 삼교교섭의 연구와 필요성
제3절 삼교교섭 전반에 대한 연구성과
제4절 삼교교섭에 관한 여러 문제
제3장 역경譯經·경록經錄·위경僞經 오카베 가즈오岡部和雄
제1절 한역漢譯 불전의 특질
제2절 불전 번역의 전개
제3절 경전 목록의 작성
제4절 위경僞經
제4장 둔황敦煌 불교 가미야마 다이슌上山大峻
제1절 둔황이라고 하는 곳-불교동점佛敎東漸의 요충-
제2절 매장되어 있던 불교자료-발견·수집·보관-
제3절 둔황 출토 자료와 그 연구
제4절 해명된 불교도시 둔황의 성쇠
제5절 둔황 불교의 종언
제5장 대장경 개판開版 시나 고유椎名宏雄
제1절 대상 범위와 기본 문헌
제2절 송원대의 장경藏經
제3절 명·청대의 경장經藏
제4절 고려와 일본의 장경藏經
제6장 중국불교와 주변국들
제1절 한국불교 이시이 고세이石井公成
제2절 일본불교 사토 슈코佐藤秀孝
제3절 티베트 불교 기무라 세이지木村誠司
제2부 각론
제1장 한위양진漢魏兩晉 시대의 불교 이토 다카토시伊藤隆壽
제1절 불교 전래 전후의 여러 문제
제2절 후한後漢(동한東漢·삼국시대
제3절 서진西晉시대
제4절 동진·16국시대
제2장 남북조시대의 불교 이시이 고세이石井公成
제1절 연구사와 앞으로의 연구방향
제2절 남북조의 역사와 사회
제3절 불교 이외의 사상과 종교
제4절 남북조 불교의 통사
제5절 기본사료
제6절 북조의 불교
제7절 남조의 불교
제8절 성실열반학파成實涅槃學派
제9절 심식설心識說과 여래장설如來藏說의 탐구
제10절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을 둘러싼 논의
제11절 정토신앙과 선관禪觀
제12절 계율과
이 책은 총론과 각론의 2부, 그리고 본문에 소개된 참고문헌의 편·저자 인명을 검색할 수 있는 색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론은 중국불교의 개요와 특색, 격의와 삼교교섭, 역경·경록·위경, 돈황의 불교, 대장경의 개판, 중국불교와 주변 제국 등 모두 6장으로 편성되어 중국불교뿐 아니라 동아시아 한문불교문화권 여러 나라의 불교에 대한 연구방법, 경전과 문헌, 지역의 특징 등 불교 연구의 기본사항을 정리하였다. 각론에서는 중국에 불교가 전래된 한·위·양진 시대, 남북조시대, 수·당시대, 송대와 요·금대, 원·명·청대 등 시대별로 구분하여 서술하였다. 한·위·양진 시대와 남북조시대의 불교에서는 불교 전래 전후의 제문제, 연구사와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중국불교의 전성기라 할 수·당시대의 불교에 대해서는 천태종, 삼론종, 삼계교, 법상종, 화엄종, 율종, 정토교, 선종, 밀교 등 9개 분야로 구분하였고, 연구사 개관, 개설서 및 연구서 등 주요 참고문헌 소개, 연구과제를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기타 종파별 핵심 주제에 대해 연구사적 검토를 행하였다. 송대와 요·금대 불교는 선종을 중심으로 천태종·화엄종·율종·밀교·정토교 등을 개관하고, 요·금 불교 분야는 현재의 연구상황을 반영하듯 간략히 검토하였다. 이어 원·명·청대 불교는 방법론과 함께 각 조대별朝代別 핵심 주제에 대해 연구사적 검토를 행하였다. 이렇게 각론은 각 시대별 주요 주제에 대해 개설하고 관련 사료 및 참고문헌을 소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끝으로 색인은 본문에 실린 항목과 직접 관계가 있는 참고문헌의 편·저자, 역자 등을 수록하였다. 특히 본 역서에서는 일본과 중국 편·저자의 인명을 해당 국가의 발음으로 표기하여 검색 및 활용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이 책의 특징은 해당 분야의 권위자에 의해 집필된 불교학 및 불교사를 포함한 중국불교 연구에 최적이자 현재 유일의 입문서라는 점에 있다. 특히 연구 입문서로서의 기본적인 특징 이외의 장점으로는 연구사를 검토하면서 역사적 사실을 중심으로 논저에 대해 논평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