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독학자의 공부’ 시리즈를 펴내며
들어가며_ 통치론의 새 지평
1부 한비의 생애와 문장
1장 _ 한비의 생애
한비, 전국시대 최후의 대사상가 |한비와 이사, 라이벌 | 한비의 시대
2장 _ 한비의 문장
「세난」 주석 비교|「세난」 분석
2부 한비자의 문제의식
1장 _ 군신관계와 통치론
현실인식:군신관계는 불신이 기본|통치론
2장 _ 복합적인 사상의 결
자료로서의 역사와 그 해석|이전 사상에 대한 검토 : 『노자』|당대 사상조류의 검토와 비판|「고분」 : 현실인식과 우환의식을 담은 예술 산문
3부 사상과 이야기
1장 _ 법가 사상의 흡수 : 세·술·법
세(勢:성인에서 보통의 임금으로|술(術·법(法:군신관계의 역학
2장 _ 도가와 유가의 영향
노자에서 한비자로:도가와 법가|유가와 법가
3장 _ 역사와 이야기
이야기의 바다|한비의 글쓰기|연주체
맺는 글:이상에서 현실로
참고문헌
맥락적 읽기를 통해 자신만의 고전 읽기로!
『한비자』 이해의 새로운 지평!
고전, 특히 동양고전을 읽는다는 행위에는 특별한 아우라가 함께한다. 천 년, 혹은 이천 년 이상의 시간을 넘어 지금까지 전해지는 불변의 진리, 혹은 인생이나 처세에 중요한 비법을 담고 있다는 신비함 같은 것들이 ‘고전’이라 불리는 책들을 감싸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책을 읽지 않는다는 한탄이 가득한 21세기의 한국에서도 여전히 『논어』나 『노자』 같은 고전을 읽고 이해하려는 이들은 면면히 이어지고 있다. 북튜브 ‘독학자의 공부’ 시리즈의 책들은 바로 이런 독자들이 더 깊고 더 넓게 동양고전의 세계와 접속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독학자의 공부’ 시리즈의 네번째 책 『독학자를 위한 한비자 읽기』는 법가 사상의 핵심적인 문헌이자 제자백가 시대의 마지막 걸작인 『한비자』를 여러 측면에서 분석한다. 특히 한비자의 ‘통치론’을 『한비자』의 여러 글들을 직접 인용하면서 설명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한비자의 사상사적 기여를 도출해 낸다. 유가와 도가와 같은 기존의 사상이 ‘선왕’이라는 문명의 창조자이자 문화의 모범을 기준으로 통치 행위를 구성했다면, 한비자는 ‘보통 임금’으로 통치 주체를 옮겼다는 것, 군신관계의 본질을 불신으로 파악하고 왕을 통치의 초점으로 두었다는 것, 제가와 치국 즉 사와 공의 영역을 분명히 구분했다는 것 등등. 한비자가 사상사에 공헌했다고 평가받는 지점들을 짚어 내고 있다.
지은이는 이런 『한비자』의 사상사적 기여가 기존의 법가 사상(신도, 신불해, 상앙의 사상을 흡수하여 자기 것으로 만들고, 『순자』와 『노자』 등 기존의 사상들과 영향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가능했던 것임을 강조한다. 유가와 도가, 법가를 가르고 사상 간에 큰 간극이 있다고 여기는 것이 제자백가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이지만, 실제로는 도가와 법가가 밀접한 영향 관계 속에 있고, 법가가 유가에 내장된 어떤 측면이 발현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후대의 유가사상 속에서 법가가 살아남았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