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1장 『부분과 전체』의 저자에 대하여
1 하이젠베르크의 학생 시절
2 양자역학(행렬역학 연구
3 제2차 세계대전과 원자핵에너지 프로젝트
4 전후 독일 과학의 재건 사업
2장 『부분과 전체』를 읽기 위한 사전 준비
1 『부분과 전체』를 쓴 목적
2 『부분과 전체』의 특징
3 양자역학
4 칸트의 비판철학
5 마흐의 감각적 실증주의
6 논리실증주의
3장 『부분과 전체』의 재구성
1 원자이론과의 첫 만남 1919-1920
2 물리학을 공부하기로 결심하다 1920
3 현대물리학에서 이해라는 개념 1920-1922
4 역사에 대한 교훈 1922-1924
5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과의 대화 1925-1926
6 신세계로 향하는 길 1926-1927
7 자연과학과 종교에 대한 첫 번째 대화 1927
8 원자물리학과 실용주의적 사고방식 1929
9 생물학, 물리학, 화학의 관계에 대하여 1930-1932
10 양자역학과 칸트철학 1930-1932
11 언어에 대한 토론 1933
12 혁명과 대학 생활 1933
13 원자 기술의 가능성과 소립자에 대한 토론 1935-1937
14 정치적 파국에서의 개인의 행동 1937-1941
15 새로운 시작을 향해 1941-1945
16 과학자의 책임 1945-1950
17 실증주의, 형이상학 그리고 종교 1952
18 정치와 과학의 대결 1956-1957
19 통일장이론 1957-1958
20 소립자와 플라톤철학 1961-1965
“입자와 파동의 이중성은 전자만의 성질이 아니라
모든 자연물에 내재되어 있는 성질입니다.”
하이젠베르크의 자서전인 『부분과 전체』는 닐스 보어, 볼프강 파울리 등 양자역학을 만드는 데 일조한 과학자들의 논쟁과 대화를 통해 이야기를 풀어 나간다. 이들은 양자역학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는 공통점이 있는데, 그렇기에 이들 대화는 곧 양자역학의 성립 과정을 엿볼 수 있는 역사적 기록인 셈이다. 하이젠베르크의 생각은 물론이고 보어를 중심으로 한 코펜하겐학파의 견해가 대화 형식으로 펼쳐지고 있어 과학자들이 어떤 문제에 골몰했고, 이들 관계가 어떠했는지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측정 결과가 관측자의 운동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든지
측정 행위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은
완전히 객관적인 사실이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요.”
현대과학의 고전 중의 고전,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를 만나다!
여타 과학책들이 형이상학적 논쟁보다는 과학의 실용성을 중요히 여겨, 철학적인 설명은 피하고 과학 내용만을 다루곤 하는 데 반해 『부분과 전체』는 첫 번째 대화에서부터 ‘이해한다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운위할 만큼 철학적 측면을 심도 있게 다룬다.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읽는 것은 다른 과학책에서 볼 수 없었던 철학 내용들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과학자들의 대화에서 발견할 수 있는 철학적인 논의는 『부분과 전체』가 왜 고전의 반열에 올랐는지에 대한 이유가 될 것이다. 이에 더해 마치 소설을 읽듯 배경, 장소, 인물에 대한 문학적 묘사는 글을 읽는 데 진진한 재미를 배가해 준다. 거기다 이 책은 2차 세계대전의 한가운데에 있으면서 원자폭탄 개발에 적으나마 영향을 주었던 하이젠베르크의 행동을 통해 과학자의 윤리와 책임 문제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게 한다는 점에서도 가치가 있다.
인물 간의 긴 대화를 간명하게 축약하면서도 핵심 내용은 그대로 남긴 저자 곽영직 교수의 친절한 안내를 따라 우리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