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이란 무엇인가(16쪽 | 어디까지가 한국어인가(21쪽 | 새로운 번역을 시도할 때가 되었다(25쪽 | 이 나라에서는 일본어로 철학을 번역한다(29쪽 | 언어 유린의 무한 순환 사건의 전모(34쪽 | 단어 토폴로지(38쪽 |
Mind 머리냐 마음이냐(50쪽 | Spirit 영이냐 정신이냐(56쪽 | Soul 정신이냐 영혼이냐(62쪽 | Perception 감지냐 지각이냐(68쪽 | Apperception 자의식이냐 통각이냐(72쪽 | a priori 선천이냐 선험이냐(76쪽 | Transcendental 초월이냐 선험이냐 (82쪽 | Transcendent 초경험이냐 초험이냐(90쪽 | Form 형식이냐 형상이냐(92쪽 | Matter 재료냐 질료냐(95쪽 | Idea 이데아냐 이념이냐(98쪽 | Substance 본질이냐 실체냐(104쪽 | Reality 실체냐 실재냐(110쪽 | Aesthetic 감수성이냐 감성론이냐(114쪽 | Thought 생각이냐 사고냐(120쪽 | A being 존재냐 존재자냐(122쪽 | Extension 크기냐 외연이냐(126쪽 | Intension 세기냐 내포냐(130쪽 | Synthesis 종합의 문제(134쪽 | Unity 하나됨이냐 통일이냐(138쪽 |
논리학에서 번역 문제(142쪽 | Universal 보편인가 전칭인가(148쪽 | Particular 개별인가 특칭인가(151쪽 | Singular 단일인가 단칭인가(154쪽 | 긍정 판단과 부정 판단(157쪽 | Infinite 긍정부정인가 무한인가(159쪽 | Categorical 무조건인가 정언인가(164쪽 | Hypothetical 조건인가 가언인가(168쪽 | Disjunctive 선택인가 선언인가(171쪽 | Problematic 미정인가 개연인가(175쪽 | Assertoric 확정인가 실연인가(179쪽 | Apodeictic 필연인가 명증인가(182쪽 |
어째서 유비추론을 하지 않는가(186쪽 | Manifold 다양함이냐 잡다냐(192쪽
인문학을 읽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은 쉽다. 그러나 막상 인문학 책을 펼치면 어렵다. 자신이 공부만큼은 좀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조차, 인문고전을 읽을라치면 어려운 단어에 백기를 든다. 그래서 대부분 쉬운 해설서에 만족할 뿐, 혼자 힘으로는 고전을 읽지 못한다. 이 책은 그런 사람들을 위해 출판되었다. 당신이 머리가 나빠서 읽지 못하는 게 아니다. 당신이 사용하는 우리말이 일본어 감옥에 갇혀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그 실태를 섬세하게 보여주면서, 혼자 힘으로 인문학에 입문할 수 있는 열쇠를 제공한다.
거의 매년 일본에서는 철학 개념을 해설하는 책들이 출판된다. 그리고 우후죽순처럼 우리말로 번역된다. 이 책은 이런 관행에 정면으로 맞서면서 질문한다. 어째서 한국어로 철학하지 않는가? 어째서 평범한 한국어에서 단어를 찾지 않는가?
일본에서 철학 용어 해설집이 많이 출간되는 이유는 현대 일본인들조차 메이지 시대에 만들어진 자기들의 언어를 어려워하기 때문이다. 사람들의 언어 습관에서 철학 용어가 현명하게 선택된 게 아니라, 일부 지식인이 단어를 발명한 후 사람들이 그것을 매뉴얼처럼 암기해 왔다면, 시대의 변화에 맞춰 올바르게 개선해 봄직하다. 그러나 일본은 개선보다 해설을 택했다. 우리나라에서 그런 해설집이 유행처럼 한국말로 번역되어 출간된 까닭은 우리나라 철학 용어가 일본어 한자를 음역해서 만들어졌다는 점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우리나라 철학 용어의 대부분이 일본어 한자와 같다. 퍼즐처럼 일대일로 대응한다. 그러므로 일본 책들을 수입하는 것은 유용하고 슬기로운 일처럼 보인다. 이 땅의 지식인들은 그런 퍼즐을 의심하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나라 철학 용어의 상당수가 우리말에 맞지 않아 폐기돼야 한다면, 일본어에 중독된 퍼즐 놀이는 의심스러운 일이 된다. 이 책의 장점은 추상적이거나 선언적인 수준의 비판을 넘어섰다는 점에 있다. 저자는 단어 토폴로지 기법을 통해 일본식 한자어가 이 땅에서 얼마나 철학을 핍박해 왔는지 증명하며, 일본식 번역이 서양 철학의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