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자와 해학이 가득한 장끼전
장끼전은 대부분의 고전 소설이 그랬듯이 처음에는 <장끼타령> <자치가> 등의 이름으로 판소리로 불리었습니다. 판소리 열두 마당에 들어갈 정도로 널리 유행했으나, 조선 후기 신재효에 의해 판소리가 여섯 마당으로 정리될 때 빠지면서 판소리로서의 <장끼타령>은 서서히 사라지고 소설로 자리를 잡게 되었습니다.
장끼전은 숨이 끊어지는 절박한 순간조차 웃음으로 여유를 보이는 우리 민족의 웅숭깊은 마음을 느낄 수 있는 고전 소설의 하나로, 익살스러운 풍자와 해학이 가득합니다. 이 책은 사람 이름과 지역 이름, 말투 등을 원문의 내용에 맞게 살려두면서 어린이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다시 쓴 것입니다.
고전을 옛날에 쓰인 그대로 읽으며 그 맛과 멋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그러려면 여러 가지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두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한 많은 보통 사람들에게는 외면당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 책은 어린이들이 비교적 편안히 읽으면서도 고전의 넉넉한 재미와 그 안에 담긴 깊은 뜻을 느낄 수 있도록 문장을 정성껏 다듬었습니다.
여성의 권리에 대해 한 걸음 앞서간 결말
장끼전은 <화충전> <자치가> 등의 다른 이름을 갖고 있는 데서 알 수 있듯이, 여느 고전 소설처럼 여러 이본이 있습니다. 전체의 내용은 비슷한데 결말 부분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기본 줄거리로는 까투리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콩 한 쪽을 먹으려다 장끼가 죽고 마는데, 이야기가 거기에서 끝이 나거나 아니면 과부가 된 까투리가 재혼하여 잘 사는 얘기까지 이어지거나 합니다.
‘남존여비’의 유교 도덕을 중시하던 조선 시대에 아내의 말을 듣지 않아 목숨을 잃는다는 설정은 상식을 깨뜨리는 일이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거기에서 까투리의 재혼까지 이끌어간 것은 여성의 권리에 대한 생각이 한 걸음 더 나아갔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편, 좀더 폭넓은 관점에서 보자면, 추운 겨울에 먹을 것이 없어 온 들판을 헤매다가 콩 한 쪽 때문에 목숨을 잃는 장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