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_책머리에
1장 금표의 이해
01 금표란?
02 금표의 목적별 분류
03 금산과 봉산
04 금표와 경계석
05 금표와 공유지의 비극
2장 왕실금표
01 왕릉금표
02 태실의 금표와 화소
03 왕실 관련 장소금표
3장 산림금표
01 황장금표
02 향탄금표
03 삼산봉표
04 기타
4장 사찰금표
01 장묘 금지 금표
02 왕실 관련 사찰
03 사찰 내 행위 금지
04 기타
5장 종교·신앙금표
01 강화 마니산 참성단 금표
02 안동 용수사 금호비
03 제주 금경산 표석
04 제주 수월봉 영산비
05 제주 추자도 신묘금지비
06 관왕묘와 금잡인 표석
6장 장소·행위 금지 금표
01 사산금표
02 사패지 금표
03 행위 금지 금표
04 기타
7장 기타 금표
01 한글 금표
02 목적을 알 수 없는 금표
발문_맺음말
부록 금표 일람표
미주
참고문헌
금표(禁標에 대해 아시는지? 생소하게만 느껴지는 금표는 ‘행위의 금지를 표식’한 것으로, 대개 비석의 형태나 자연 바위 등에 새겼다. 대체로 금표라고 하면 나무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인식하기 경우가 적지 않으나 어떤 행위의 금지냐에 따라 금표의 성격과 분류가 다르다. 저자는 지난 6년간 금표가 있는 현장을 직접 전수 조사했다. 이 과정에서 금표의 정의와 각 금표별로 공통되는 지점을 찾아 금표를 금표의 목적별로 〉왕실금표 〉산림금표 〉사찰금표 〉제단·신앙금표 〉장소 관련 금표 〉행위 금지 금표 〉기타 금표로 분류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유형의 금표를 만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책은 전국의 금표를 집대성한 책으로, 미진한 금표 연구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동시에 향후 금표 연구에 있어 중요하게 바라볼 책이 될 것이다.
책 속에서
금표(禁標란 금할 금(禁, 표할표(標에서 보듯 행위의 금지를 표식한 것이다. 주로 표석의 형태나 바위 등에 글자를 새겼는데, 출입과 이용의 제한을 두는 경우가 많기에 금표의 분류 기준은 어떤 행위의 금지냐에 따라 달라진다.
현재까지 확인된 금표 가운데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건 산림 관련 금표로, 이 중 나무와 관련된 금표의 비중이 다수를 차지한다. 이러한 산림 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흔적들이 송금(松禁 〉금산(禁山 〉봉산(封山 〉봉표(封標 등으로 남아 있다.
산림 자원 이외의 금표는 〉왕실 관련 장소 〉사찰 〉제단·신앙 관련 장소 〉행위 금지 등이 확인되는데, 장소가 가지는 상징성의 측면과 행위 금지의 관점에서 금표의 성격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금표의 실물은 확인되나 추가 명문이나 문헌 자료 등의 부재로 어떤 목적인지 분류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렇기에 금표에 대한 체계적인 분류가 선행되어야 한다. 즉, 목적별로 금표를 분류하고, 그 아래 개별 금표로 재분류하는 방식으로 금표에 대한 세분화가 필요하다.
-14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