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4
I. 교수법 및 비대면 수업과 한국어 교육
1. Designing Project Modules for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12
2. Moodle을 사용한 한국어 연습 문제 만들기 프로젝트 -28
3.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of Korean in India -42
4. 역번역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58
5. 유럽 대학에서의 한국어 교수법, 절충식 교수법? -80
6. 태블릿을 활용한 한국어 회화 수업의 과업 중심 교수법 분석 -90
II. 문화 및 번역과 한국어 교육
1. K-POP 노래를 활용한 취미 목적 한국어 실제 수업 방안 -102
2. Teaching Culture in Undergraduate Korean Language Courses in Hungary -118
3. 남북한 언어 이질화의 구체적인 현황과 그에 따른 문제점 -134
4. 번역 강의와 번역 태도 -146
5. 한국 현대사를 활용한 한국어 고급 학습자 교육 방안 연구 -160
III. 어휘 및 문법과 한국어 교육
1. L2 한국어의 발달 연구 -174
2.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먹다’와 ‘마시다’ 동사 사용에 관한 연구 -192
3. 한국어 강조 정도 부사의 사용 양상 -212
4. 한국어 복수 표지 ‘들’의 문법적 특이성과 교육의 필요성 -228
5. 한국어 용언의 활용형 연구 -240
IV. 학습자 및 교육 자료와 한국어 교육
1. 학문 목적 학습자의 학술적 글쓰기 결론 구조에서 드러나는 개입(engagement 양상 -258
2. 한국어 교육용 용언 활용형 웹 사전 모형 개발 -272
3. 한국어 학습 동기와 학업 성취도 관계 연구를 통한 한국학 발전 방향 모색 -282
4. 해외 대학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동기 및 태도 연구 -294
V. 한자와 한국어 교육
1. Facilitating the acquisition of
책 속에서
본래 번역학에서 시작된 역번역은 외국어 원문을 모국어로 번역한 뒤 해당 번역의 품질을 판단하기 위해 다른 번역가에게 해당 번역문을 다시 원문으로 번역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이 과정은 학습자의 한국어 텍스트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모국어 텍스트로 1차 번역이 가능하기 때문에 꼼꼼하고 정확하게 읽는 이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국어로도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번역을 연습할 수 있다. 또한 모국어 텍스트를 한국어 텍스트로 번역하는 과정에서는 어떻게든 학습자가 가진 언어 지식 내에서 적절한 어휘와 표현, 문법들로 표현해 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 쓰기와 달리 학습자가 모르는 것들을 회피하는 일이 불가능하다. 이를 통해 자신의 언어 실력을 진단하고 구체적으로 부족한 부분을 인지할 수 있으며, 원문과 자신이 역번역한 텍스트를 비교함으로써 오류를 바로잡고 더 적절하며 한국어 화자다운 자연스러운 표현을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역번역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중에서
학습 과정을 학습 포트폴리오로 관리할 수 있다는 점이 태블릿을 활용한 수업의 교육적 효과라고 볼 수 있다. 학습관리시스템으로 태블릿을 활용하면서 수기로 필기한 것을 촬영하여 기록하고 태블릿에 직접 필기를 하는 학습자도 많았는데, 태블릿을 사용하면 학습 내용을 모두 한곳에 기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필기뿐만이 아니라 발음을 연습한 음성 및 발표 동영상 자료까지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 용량만 확보된다면 시간순으로 관리할 수 있다. 저장한 자료는 교육자도 언제든지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해 두면 학습자의 현재 학습 상황과 도달도의 확인이 용이하다. 이러한 교육적 효과의 증대를 위하여 교수자는 학습자가 한 단계 더 위로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판으로서의 스캐폴딩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재차 강조한다.
---「‘태블릿을 활용한 한국어 회화 수업의 과업 중심 교수법 분석’」중에서
번역을 외국어 학습을 위한 보조 도구로 여길 때, 번역 강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