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의 말 5
제1부 시창작 활동 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 매체 활용을 중심으로
제1장 서 론 15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5
2. 선행연구 검토 20
- 시창작교육의 관점론 20
- 시창작교육의 방법론 25
- 매체에 대한 수업모형 28
3. 연구 방법 및 범위 33
제2장 이론적 배경 39
1. 보조기능으로서의 매체를 활용한 교수이론 40
2. 접근방식으로서의 매체를 활용한 수업모형 45
3. 매체를 활용한 시창작 활동 교육 모형(안 51
제3장 프로그램의 실제 60
1. 블랜디드(on-offline 방식 62
- 블랜디드 방식과 시창작교육 63
- 블랜디드 방식의 교육 프로그램 실제 65
- 블랜디드 방식의 시창작 활동 교육 프로그램 분석 82
2. 비대면(online 방식 84
- 비대면 방식과 시창작교육 84
- 비대면 방식의 교육 프로그램 실제 88
- 비대면 방식의 시창작 활동 교육 프로그램 분석 107
3. 온라인(online 녹화 방식 109
- 온라인 녹화 방식과 시창작교육 110
- 온라인 녹화 방식의 교육 프로그램 실제 114
- 온라인 녹화 방식의 시창작 활동 교육 프로그램 분석 134
제4장 매체별 교육사례 결과 비교 137
1. 설문조사 결과 분석 및 피드백 보완 137
- 블랜디드(on-offline 방식 사례 140
- 비대면(online 방식 사례 145
- 온라인 녹화 방식 사례 150
2. 매체의 활용성 비교 154
제5장 결론 및 제언 167
참고문헌 172
미 주 177
제2부 시창작 활동 교육 프로그램의 장소적 지평 : 청년공간을 중심으로
1. 서 론 189
2. 이론적 배경 193
3. 청년공간에서의 시창작 활동 교육 프로그램 실제 209
4. 청년공간에서 시창작교육 프로그램의 구축 필요성 222
5. 결론 및 제언 225
참고문헌 228
이 책은 시인을 양성하는 일반적인 시창작교육의 관점과는 좀 다른 차원에서 펼치는 ‘시창작교육론’이자 그 실기론이다. 시문학은 근대에 들면서 소위 시인이라는 특별한 지위의 전유물이 되어 일반 대중은 그것을 일방적으로 수용하는 자리에만 있어 왔다. 더구나 ‘날로 난해해지는’ 시문학의 속성상 일반 대중은 그것을 진정한 의미에서 독서를 하기도 어려운 상황을 견뎌야 했다. 이에 따라 시를 전공하지 않은 사람은 시를 쓰지도 즐기지도 못하는 상황에 놓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문화적 현실에서 문학을 전공하지 않은 일반 대중의 처지에서 시를 창작할 수 있는 길을 열어야 한다는 시대적 요청이 있어 왔다.
이 책은 특히 코로나 시대를 거치면서 원격미팅을 통해 이런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는 시창작교육을 감행한 결과를 담았다. 이 책 1부의 내용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주로 비대면으로 실시한 과정과 결과이다. 2부는 특별히 청년층을 대상으로 그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이른바 ‘청년공간’에서의 시창작 활동을 장려하는 과정과 그 방법을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