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_아침 죽은 먹었는가? 그럼, 발우나 씻게나
추천사_미야모토 다이호오(宮本大峰 방장 스님
읽기 전에_본서 『무문관 참구』의 특징
해설_간화선 수행의 교과서,『무문관』
무문의 자서(無門의 自序 / 선종무문관
제1칙_ 조주구자(趙州狗子 / 조주의「무」
제2칙_ 백장야호(百丈野狐 / 백장의「불락인과·불매인과」
제3칙_ 구지수지(俱?竪指 / 구지의「한 손가락 선」
제4칙_ 호자무수(胡子無鬚 / 혹암의「달마는 어째서 수염이 없는가」
제5칙_ 향엄상수(香嚴上樹 / 향엄의「입으로 가지를 물고 매달려 있을 때 어떻게 대답할까」
제6칙_ 세존염화(世尊拈花 / 세존이 꽃을 드니 가섭이 미소 짓는다
제7칙_ 조주세발(趙州洗鉢 / 조주의「발우나 씻게나」
제8칙_ 해중조차(奚仲造車 / 월암의「수레를 해체하면 어떻게 되는가」
제9칙_ 대통지승(大通智勝 / 청양의「대통지승불」
제10칙_ 청세고빈(淸稅孤貧 / 조산과 청세의 청빈
제11칙_ 주감암주(州勘庵主 / 조주와 두 암주의 주먹
제12칙_ 암환주인(巖喚主人 / 서암의「주인공」
제13칙_ 덕산탁발(德山托鉢 / 덕산이 발우를 들고 되돌아가다
제14칙_ 남전참묘(南泉斬猫 / 남전이 고양이를 베다
제15칙_ 동산삼돈(洞山三頓 / 운문의 세 차례 방망이와 동산의 깨달음
제16칙_ 종성칠조(鐘聲七條 / 운문의「종소리가 나면 어째서 가사를 입는가」
제17칙_ 국사삼환(國師三喚 / 혜충국사가 세 번 부르고 시자가 세 번 대답하다
제18칙_ 동산삼근(洞山三斤 / 동산의「마삼근」
제19칙_ 평상시도(平常是道 / 남전의「평상심이 도」
제20칙_ 대역량인(大力量人 / 송원의「대역량인은 어째서 다리를 들지 못하는가」
제21칙_ 운문시궐(雲門屎? / 운문의「똥 덩어리」
제22칙_ 가섭찰간(迦葉刹竿 / 가섭이 아난에게 법을 전하다
제23칙_ 불사선악(不思善惡 / 육조의「선도 악도 생각지 않을 때 너의 본래면목은」
제24칙_ 이각어언(離却語言 / 풍혈의「말에도 침묵에도 걸리지 않는 한마디」
제25
출판사 서평
10년 전,
두 선생은 수행을 위해
잘나가던 동국대학교 강단을 떠나
외딴 섬 오곡도로 들어갔다.
이후 900여 회의 독참을 해가며
치열한 선(禪 수행에 매진해 왔다.
한때 불교계를 떠들썩하?게 했던 장휘옥 · 김사업 저자가 그동안의 수행을 바탕으로 7년만에 새 책을 출간했다. 그것도 900여 회의 독참으로 다져진 실천적 수행을 바탕으로 『무문관』을 참구했다.
서울대, 도쿄대 출신의 두 불교학자가 그 잘나가던 대학 강단을 과감히 내팽개친 지 10년이다. 10년이 지난 두 선생의 눈빛은 더 이상 강의하던...
10년 전,
두 선생은 수행을 위해
잘나가던 동국대학교 강단을 떠나
외딴 섬 오곡도로 들어갔다.
이후 900여 회의 독참을 해가며
치열한 선(禪 수행에 매진해 왔다.
한때 불교계를 떠들썩하게 했던 장휘옥 · 김사업 저자가 그동안의 수행을 바탕으로 7년만에 새 책을 출간했다. 그것도 900여 회의 독참으로 다져진 실천적 수행을 바탕으로 『무문관』을 참구했다.
서울대, 도쿄대 출신의 두 불교학자가 그 잘나가던 대학 강단을 과감히 내팽개친 지 10년이다. 10년이 지난 두 선생의 눈빛은 더 이상 강의하던 그 눈빛이 아니다. 7년 전 맨발로 누빈 세계 각국의 선방(禪房 풍경과 치열한 수행 체험을 담아 책을 냈다면, 이번에 출간한 『무문관 참구』는 두 저자의 수행성과가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책이다. 어찌 보면 지난 10년간의 성적표라고 감히 말할 수도 있겠다.
장휘옥 · 김사업 저자의 신간인 『무문관 참구』는 집필 기간만 2년이 넘는 대장정을 헤쳐 온 책이다. 1인 10역을 해도 항상 손이 모자라는 다사다난한 섬 생활과 힘겨운 참선 수행, 그리고 절대 빼먹지 않는 예불 시간, 어떻게 보면 안거에 들어간 스님보다 더 빡빡한 오곡도다. 그 가운데 어떻게 시간을 쪼개어 원고를 작업했을 지 상상하면 머리가 어지러울 지경이다. 왜 그러한 힘든 고통을 사서 했을까? 두 저자는 말한다.
“참다운 대자유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