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이상학의 가능성 탐색을 위한 이성의 훈육
『형이상학 서설』은 『순수이성비판』의 좀 더 ‘대중적인 버전’으로 세 가지 점에서 『순수이성비판』과 차별화된다. 첫째, 『순수이성비판』보다 4분의 1 정도로 분량을 줄여 서술의 방대함이 가져온 불명료성을 제거했으며 둘째, 구체화되고 이론적인 문제제기의 모든 사유 과정을 따랐고 셋째, 설명과 논의 방식에서 『순수이성비판』에서의 종합적 방법 대신 분석적 방법을 채택했다. 특히 논의 방식의 변화는 대중성을 제고한 칸트의 전략적인 선택으로 『순수이성비판』이 “학문이 자기의 모든 분절들을, 하나의 전적으로 특수한 인식능력의 구성물 조직으로서, 그 자연스러운 결합에서 제시되도록” 하기 위해 전적으로 ‘종합적 교습방식’에 따랐다면, 『형이상학 서설』은 “마치 사람들이 찾아야 하는 것이 주어져 있는 양 전제”하고 그 조건들을 탐색하는 분석적 방법에 따라 서술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탐색한다. 이로써 비판철학의 요점이 보다 쉽고 명확하게 독자들에게 전달되고 있다.
본 역서는 이마누엘 칸트의 『형이상학 서설』가운데 서문과 부록 그리고 §1∼5 및 『순수이성 비판』의 ‘초월적 변증론’에 상응하는 “초월적 주요 물음에 관하여 셋째 부분 : 어떻게 형이상학 일반이 가능한가?”를 옮긴 것이다. 이 부분을 우선 옮긴 이유는 칸트가 『순수이성비판』에서 여러 차례 강조하고 있는 순수 사변 이성의 인식 원리들과 인식 요소들 간의 유기적 관계를 여기서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독일 대학 철학과 세미나의 경우 『순수이성비판』의 ‘초월적 변증론’ 바로 전 단계인 ‘순수 지성의 종합적 원칙들’을 다루는 데만 총 8학기 4년의 시간이 소요된다고 한다. 대부분의 학생이 책의 마지막 부분인 ‘초월적 변증론’이나 ‘초월적 방법론’까지 다루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순수이성비판』의 마지막 장인 ‘초월적 방법론’부터 시작하는 방식을 택하기도 한다. 따라서 『형이상학 서설』가운데서도 형이상학과 관련된 부분을 먼저 읽어보는 것이 칸트 철학의 본령을 이해하는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