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사
들어가는 글
1장 기억하고 싶지 않은 어린 시절
1. 용두동과 상계동에서의 성장 과정
2. 어려운 집안의 ‘귀한 아들’
3. 아주대 공대 입학
2장 아주대 탈춤반 활동과 기청연합팀 활동
1. 아주대 탈춤반 참여
1 탈춤반 활동
2 학습과 의식의 전환
3 1979년 10월 첫 탈춤 공연
4 1979년 10?6 사태
2. 기청연합팀: ‘진영’ 활동
1 1980년 광주민중항쟁 이후 새문안교회 연좌 농성
2 민주노조에 탈춤반을 만들다
[내가 만난 이훈구] 민경서, 유영란
3장 노동현장 투신과 인천지역 정치서클 활동
1. 노동현장으로의 존재 이전 준비
2. 인천지역의 정치서클 활동
1 인천지역 정치서클의 형성 과정
2 「113」문건 작성과 다른 지역 제파PD 그룹의 반응
3 인천 조직 내부의 분열과 활동 정리
3. 1980년대 활동에 관한 문제의식
4장 운동의 새로운 모색과 휴지기
1. 마산창원지역 현장운동의 시도
2. 전노협 백서 작업 참여와 운동의 단절 시기
5장 노동자의 힘
1. ‘노동자의 힘’ 결성
2. 조직위원장의 활동 1: 투쟁 활동
1 2001년 대우자동차 노동자들의 구조조정 저지 투쟁
2 근골격계 투쟁: 노동강도 강화 저지 투쟁
3 2002~2003년 ‘에바다 비리 재단 퇴진과 정상화’를 위한 투쟁
3. 조직위원장의 활동 2: 조직사업
4. ‘노동자의 힘’ 상근자인 이훈구
1 상근자들의 활동 조건과 관계
2 이훈구의 조직 중심성
5. 2003년 11월 9일 전국노동자대회
1 투쟁의 준비 과정
2 전국노동자대회, 마지막 폭력투쟁
3 구속, 수배, 도피 생활
4 투쟁에 대한 문제의식
6. ‘노동자의 힘’ 활동에 대한 문제의식과 탈퇴
[내가 만난 이훈구] 박성인, 김재광, 전주희
6장 결혼생활과 이훈구
1. 연애와 결혼
2. 인천에서의 결혼생활
3. 수유스낵 운영과 다시 현장으로
4. 생활경제의 의존성
5. 별거 그리고 이혼
6. 부부관계에서의
끊임없이 현장으로, 노동자에게로, 세상 속으로 섞여 들어
‘빌어먹으며, 거지발싸개 같이’ 살고자 한 활동가 이훈구의 생애
이 책의 주인공 이훈구는 1960년 서울에서 태어나 1979년부터 2020년까지 40여 년간 사회를 변혁하기 위해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을 했다. 이훈구는 1979년 학생운동을 시작하면서부터 2005년경 정치조직운동을 정리할 때까지, 그리고 2002년부터 2020년 삶을 마무리하는 순간까지 노동보건안전운동을 매개로 사회 변혁, 나아가 모든 사람이 주체가 되는 ‘삶으로서의 운동’을 꿈꿨다. 이 책은 긴 사회변혁운동 과정에서 형성된 이훈구의 문제의식과 활동을 중심으로 그의 생애를 정리했다.
이훈구는 대학 탈춤반에서 사회과학을 학습하던 시기에 1979년 10.26사태, 1980년 광주민중항쟁을 지나며 신군부정권을 규탄했고, 이후 노동 현장으로 이전해 공장에서 일하다 1985년부터 인천 제파PD 그룹에서 지역 활동을 했다. 1987년 6월 민중항쟁과 7,8,9월 노동자 대투쟁을 거쳐 1989년에 조직 내분으로 정치조직 활동을 중단한다. 그는 1980년대의 지나친 이념 지향성과 대리운동 방식, 민주적 소통과 훈련의 부족, 자기 검열과 헌신의 강요에 문제의식이 있었고, 전노협 백서 작업, 한국노동정치이론연구소 세미나 등에 참여하며 인식의 변화 과정을 가졌다. 1999년부터는 정치조직 ‘노동자의 힘’ 창립에 참여해 조직위원장, 연대사업위원장 등을 지내며 투쟁 전반을 담당했다. ‘조직 중심주의’로 평가될 만큼 계급정당 결성 실현을 위해 온 힘을 기울였으나 내부에서 발생한 성폭력 사건의 처리 문제를 계기로 2005년 탈퇴했다. 이때 이훈구는 계급적 주체를 형성하려면 현실 문제에 천착해 구체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고 현장에서부터 이를 시도하겠다고 마음먹었다.
가장 구체적인 나의 몸과 노동과정으로부터 시작해
삶의 주인으로서 세상을 바꿀 주체가 된다는 것
이훈구가 삶의 마지막까지 노동안전보건운동에 매진한 것은 이윤과 노동자의 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