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의 말 7
야코비 저작 약어표 22
제1장 야코비의 멘델스존 비판 25
1. 논쟁 과정 25
2. 무한자와 유한자 30
3. 이성의 자유와 공중제비(Salto mortale 38
4. 정화된 스피노자주의와 참된 철학 47
5. 숨겨진 내막과 인격신 59
제2장 야코비의 칸트 비판 69
1. 계몽의 이성 69
2. 비평과 부족한 만남 72
3. 신앙과 실재론적 인식 78
4. 칸트 비판과 이성의 독재 86
5. 인식과 자유로부터의 비약과 실재론의 붕괴 99
6. 실재론의 가능성 108
제3장 야코비의 피히테 비판 115
1. 종교의 시대 115
2. 피히테의 도덕적 세계질서 119
3. 야코비의 살아 있는 신 132
4. 마음의 이별 148
제4장 경건한 기만과 건강한 비학문(非學問
1. 학문의 관심 155
2. 감성과 자연 159
3. 오성과 학문 164
4. 이성과 계시 171
5. 자유로운 신앙철학과 악의 문제 181
제5장 야코비의 셸링 비판 189
1. 논쟁 배경 189
2. 기만적 이성 192
3. 이신론적 자연 198
4. 무신론적 학문 205
5. 학문과 유신론 214
제6장 셸링의 야코비 비판 221
1. 대종교 재판 221
2. 학문적 유신론 224
3. 유신론적 자연철학 230
4. 이성과 신앙의 관계 237
5. 공중제비 또는 제자리 뛰기 246
제7장 헤겔의 야코비 비판 253
1. 정신의 철학 253
2. 절대적 유한성 257
3. 유한한 무한성 264
4. 체계를 향한 정신 273
5. 화해의 첫걸음 280
제8장 야코비의 헤겔 비판 287
1. 믿음과 앎 287
2. 무차별적 절대자 290
3. 유한한 이성 297
4. 매개의 지양과 아쉬운 만남 305
야코비의 생애와 저술들 315
참고문헌 321
찾아보기 339
계몽의 비판적 자기반성을 통해 독일 고전철학을 살찌우다
이 책의 제1장에서는 야코비와 멘델스존이 편지를 통해 입장을 주고받은 무신론 논쟁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 논쟁을 통해 스피노자 철학에서의 무한자와 유한자의 관계, 이성의 필연적 체계와 자유의 가능성 등을 놓고 펼치는 야코비와 레싱 또는 멘델스존과의 대화는 그 완성의 정점에 이른 이성적 학문마저도 신(神 인식에 있어서는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는 야코비의 기본 관점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다. 제2장에서는 야코비의 칸트 비판을 다루고 있다. 야코비는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을 접했을 때, 처음에는 사상가들 가운데의 ‘헤라클레스’요, ‘쾨니히스베르크의 세례자’라고 지칭할 정도로 환호했지만, 나중에 그에게 비판의 화살을 돌렸는데 그 가장 큰 이유는 인식의 실재성 결핍 때문이었다. 더 나아가 경험의 한계 내에 머물러야 할 이성 개념이 암암리에 오성(悟性 개념의 결핍을 메우기 위해 사용되는 비일관성 때문이기도 했다. 이 장에서는 오늘날 일반적으로 알려진 칸트 철학의 결점들이 이미 야코비에 의해 거론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3장에서는 ‘사변이성의 진정한 메시아’ 피히테에 대한 야코비의 비판을 다루고 있다. 원래 무신론 논쟁에 휘말린 피히테를 돕기 위해 시작된 이 논쟁을 통해 야코비는 전도된 스피노자주의자 피히테 철학의 결점을 선명하게 드러내 보인다. 제4장에서는 야코비의 저서 『신적인 것들과 그 계시에 대하여』를 중심으로 주로 야코비의 인식론과 인식 능력의 구분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그리고 제5장과 제6장에서는 셸링과의 논쟁을 다루고 있는데, 여기서 야코비는 동일성 철학을 전개하던 셸링의 자연 개념이 학문적 유신론을 담보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제7장과 제8장에서는 헤겔과 주고받은 논쟁을 다루고 있는데, 야코비 철학에서 드러나는 절대적 유한성과 유한한 무한성의 문제에 대한 헤겔의 야코비 비판이 주목할 만하다. 이를 통해 헤겔은 야코비 신앙철학의 실천적 허약함을 부각하지만, 동시에 유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