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끄는 글 마음 공부 시간을 따로 마련해보자
1부 도경道經: 어른의 도는 유연하고 담담하다
1장 이름과 모양에 얽매이지 말고 관조하라
무와 유가 무엇인지 알아차려야 한다
말은 만물을 살리기 위해서 하는 것이다
2장 아름다움과 추함을 억지로 나누지 말라
마음챙김은 무를 마음의 눈으로 보는 것이다
니르바나는 죽어서 얻는 상태가 아니다
3장 지혜를 가장한 자들을 무위로 다스려라
현명함과 현명하지 않음도 대칭적 상관관계다
4장 날카로움을 꺾고 빛남을 부드럽게 하라
어른의 마음은 허공처럼 크고 연못처럼 깊다
붓다와 중생은 하나로 붙어 있다
5장 하늘과 땅의 마음을 제 것으로 삼는다
텅 빈 허공 속에서 만물이 살아간다
하늘과 땅은 인간을 편애하지 않는다
6장 현빈은 다툼 없이 평화를 유지한다
봉우리만큼 골짜기도 중요하다
상대를 존중하고 배려한다
7장 사사로운 욕심을 줄이는 것이 지속의 비결이다
자신을 뒤로 물리면 오히려 앞서게 된다
만물은 홀로 존재하지 않고 연결되어 있다
8장 마음을 연못처럼 깊고 땅처럼 낮게 써라
선행을 관통하는 핵심은 다투지 않는 마음이다
인을 중시하면서도 절대화하지 않아야 한다
9장 교만의 허물을 벗고 마음부터 개혁하라
따뜻하고 친절한 말 한마디가 세상을 바꾼다
10장 마음의 거울에서 욕심의 먼지를 닦으라
글자 무의 공통점은 부드러움이다
마음의 거울을 닦아 흠이 없게 한다
11장 무의 세계를 알아차림이 마음챙김이다
바퀴통 속이 비어 있기에 수레의 쓰임이 있다
12장 호흡 명상을 하면 감각에 미혹되지 않는다
말과 지식의 한계와 상대성을 알아야 한다
호흡 명상은 감각기관에 흔들리지 않는 수행이다
13장 총애를 경계하고 근심을 귀하게 여기라
총애가 하찮은 것이라고 단정할 순 없다
고집을 내려놓으면 근심도 줄어든다
14장 분별적 판단을 벗어나 황홀을 마주하라
황홀한 세계는 분별심을 내려놓아야 보인다
새끼줄처럼 대립면들이 꼬이면서 이
동양 최고의 고전 노자 『도덕경』으로 마음챙김 명상을 한다!
『도덕경』은 서양 마음챙김 명상의 원천이다!
왜 마음공부인가?
책의 제목인 『어른의 마음공부』에는 세 가지 의미가 담겨 있다. 첫째, 어른이란 말을 ‘성인聖人’의 다른 표현으로 사용했다. 둘째, 어른의 기준을 몸의 크기와 나이의 많음에 두지 않았다. 셋째, 어른다운 어른이 적어지면서 갈수록 혼탁해지는 우리 사회에 경종을 울리고 싶은 마음을 담았다. 『도덕경』에서 일관되게 발견되는 상대성 원리는 그 어떤 것도 절대적으로 고정된 것은 없다는 것이다. 최고의 진리조차도 말로 표현하면 참된 진리가 아니라는 것이 노자의 가르침이다. 어른스러움도 마음챙김을 하지 않으면 바로 어른스럽지 않음으로 타락할 수 있다는 것이 노자의 궁극적인 가르침이다.
왜 『도덕경』인가?
영미권에서 마음챙김 명상이 크게 유행하고 있다. 마음챙김의 고향인 동양으로 서양의 마음챙김이 역수입되고 있을 정도다. 서양의 마음챙김 명상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표현인 ‘하지 않음Non-doing’이 바로 노자의 무위를 영어로 번역한 것이다. 마음챙김 명상과 노자의 『도덕경』이 긴밀히 연결돼 있다.
큰 것이 클 수 있는 것은 작은 것이 있기 때문이다. 작은 것 없이 큰 것만 홀로 존재할 수는 없다. 큰 것과 작은 것은 동전의 양면처럼 하나로 같이 존재한다는 것이 노자가 제시한 도道, 즉 진리다.
마음공부 시간을 의도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마음챙김 명상은 의도적으로 부드러움을 유지하려는 수련이다. 노자의 『도덕경』은 마음챙김의 원천이다. 잠시 하던 일을 멈추고 편안하게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어 보자. 1분간의 짧은 호흡으로도 헝클어진 마음이 조용히 가라앉음을 느낄 수 있다. 가라앉으면 부드러워진다. 하지만 몸에 밴 오래된 습관 때문에 다시 마음은 이리저리 방황하며 딱딱한 생각을 하게 된다. 이것이 의도적으로 마음공부 시간을 따로 마련해야 하는 이유다.
마음챙김을 통해 진짜 어른이 되어야 한다
우리 몸과 마음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