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민족의 스승 김교신의 삶과 교육
저자 강선보, 김정환, 박의수, 송순재, 양현혜, 임희숙
출판사 박영스토리
출판일 2021-04-25
정가 17,000원
ISBN 9791165191719
수량
김교신의 생애 1 김정환.송순재

민족 정신사적 업적 9 김정환

김교신의 인격과 교육관 그리고 교육실천 17 박의수
Ⅰ. 여는 말 18
Ⅱ. 인간 김교신 21
1. 자신이 본 김교신(자화상 21
2. 타인이 본 김교신 27
3. 김교신의 인격 34
Ⅲ. 김교신의 교육관 38
1. 본질에 충실한 교육 39
2. 신앙에 기초한 교육 43
3. 내적 동기와 흥미에 기초한 교육 45
4. 민족의식에 투철한 교육 47
5. 시공을 초월한 열린 교육 50
Ⅳ. 김교신의 실천 52
1. 엄격한 자기 수련(修身과 평생학습 53
2. 철저한 가정관리(齊家 55
3. 학교교육에서의 실천 56
4. 다양한 사회교육의 실천 59
5. 개별 상담을 통한 교육 63
Ⅴ. 맺는 말 65

인간교육을 위한 김교신의 철학과 방법 69 송순재
Ⅰ. 여는 말 70
Ⅱ. 김교신 사상의 기조: 세 가지 근본어 72
Ⅲ. 기독교 신앙의 성격 74
1. 무교회주의 기독교 74
2. 조선산 기독교 76
3. 유교적 기독교: 유교에 대한 기독교의 관계 설정 79
Ⅳ. 교육론 84
1. 학교와 교사됨 학교비판과 학벌사회 비판 85
2. 교육의 철학과 방법의 기본 특징 93
3. 근대식 학교교육의 대안: 집에서 시도한 작은 교육공동체 114
Ⅴ. 맺는 말 120

근대 민족주의와 김교신의 민족교육 129 임희숙
Ⅰ. 여는 말 130
Ⅱ. 민족의 개념과 근대 민족주의의 특성 132
1. 민족의 개념 132
2. 근대 민족주의의 특징 135
Ⅲ. 일제하 민족교육의 전개와 한국교회 141
1. 개화기 이래 한일 합방까지의 민족교육 142
2. 삼일운동 전후의 민족교육 143
3. 전시체제의 민족교육 145
Ⅳ. 김교신의 민족교육 사상의 이해 145
1. 민족의식 146
2. 역사의식 151
3. 민중의식 154
Ⅴ. 김교신의 민족교육 방법론 158
1. 고난의 역사를 기록하고 기억하기: 일기쓰기 158
2. 생활신앙과
머 리 말

김교신은 누구인가?

우리 근대사에서 그를 발견하고 탐구하였던 김정환(전 고려대 명예교수, 2019년 작고은 김교신을 “종교를 교육의 기초로 생각하고, 민족적 기독교를 모색하고, 그런 인식에서 평생 민족사학의 평교사로 일관하다 조국 광복을 넉 달 앞두고 사망한, 빼어난 능력과 사상을 갖춘 교사”로 평하면서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 김교신이라 하면 종교를 떠나서 생각할 수 없고, 또 교육을 떠나서 생각할 수 없다. 그의 삶에서 종교와 교육은 하나가 되었다. 그는 “종교는 나의 본업이요, 교육은 나의 부업이다”라고도 했다. 그런데 이 부업에 더 열성적이었다. 그리고 이 부업을 지키다 세상을 떠났다. 본업은 부업 없이는 이루지 못할 것임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주지하다시피 김교신은 무교회주의자이다. 김정환의 해석과 평가처럼 그는 종교인이자 교육가였지만 교육적 사명을 종교적 사명 못지않게 중시하였는데, 그 이유는 교육의 열매가 종교의 열매 못지않게 크다고 여겼기 때문이었다. 이처럼 종교적 차원과 더불어 교육에 쏟아 부은 김교신의 정성과 그 성과는 참 이례적이고 놀라운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적 차원의 연구는 학위논문 이상의 수준에서 더 이상 깊이 있게 천착되지 못했다. 그것은 김교신의 종교적 삶과 신학이 무교회주의를 둘러싼 여러 우여곡절에도 불구하고 심도 있게 연구되고 그에 상응하는 역사적 평가를 받게 된 것에 비해 유감스러운 부분으로 남아있었다.
김교신이 주업 못지않게 중시했던 교육적 차원의 연구가 거의 없다가 70년대부터 김정환(당시 고려대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에 의해 조금씩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김정환이 발표한 김교신 교육관련 글들이 『김교신』(한국신학연구소, 1980과 그 개정판인 『김교신: 그 삶과 믿음과 소망』(한국신학연구소, 1994에 삽입되어 널리 소개되기에 이르렀다. 특히 김정환은 고려대 재직 당시 교육학개론과 교사론 시간에 교사로서의 김교신을 열정적·감동적으로 강의하였다. 따라서 고려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