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머리에 / 8
1장 | 다시 ‘철학함’의 의미와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일상적 삶의 예술
1. 들어가는 말 / 15
2. 다시 ‘철학함’의 의의와 본질 / 17
3. 자유에 대한 갈망으로서의 예술 / 22
4. 비대면의 대면이 된 일상의 미적 의미 / 27
5.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공감과 소통 / 38
2장 | 한국미와 미적 이성의 문제 - 관조와 무심, 공감과 소통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 51
2. 한국미의 개념과 미의식 / 53
3. 한국미의 특성: 관조와 무심의 경지 / 60
4. 감정의 보편적 전달가능성: 공감과 소통 / 68
5. 맺는 말 / 74
3장 | 예술에서의 ‘우연’의 문제와 의미
1. 들어가는 말 / 83
2. 우연의 학적 의미 / 88
1 생명현상과 우연 / 88
2 자연과 역사에서의 우연의 개입 / 96
3. 예술에서의 우연의 등장과 의미 / 101
1 미적 우연과 진리 / 101
2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에서의 우연의 의미 / 110
3 우연의 효과와 기법 / 119
4. 맺는 말 / 124
4장 | 예술에서의 미적 자유와 상상력의 문제
1. 들어가는 말 / 143
2. 미적 자유와 미적 거리 / 145
3. 미적 자유와 유희 / 152
4. 미적 자유와 상상력 / 162
5. 미적 ‘아우라’와 자유연상 / 171
6. 맺는 말 / 181
5장 | 컨템포러리 아트의 의미와 미적 지향성
1. 컨템포러리 아트의 의미 / 191
2. 컨템포러리 아티스트들의 시각과 표현 / 205
3. 컨템포러리 아트의 미적 지향성 / 223
6장 | 지구미학의 문제와 전망
1. 들어가는 말 / 251
2. 예술과 지질학의 관계: 지질학 속의 예술 또는 예술 속의 지질학 / 256
3. 자연에 대한 지질학적 인식과 환경미학에서의 자연 인식 / 272
4. 예술 작품을 통한 지구 미학적 접근: 이사무 노구치와 마야 린, 김홍태, 그리고 정소영
의 경우 /
헤겔(Georg W. F. Hegel, 1770∼1831은 절대정신의 자기실현과정에서 성찰을 통해 주체와 대상 간의 내적 관계를 살핀다. 필자가 이 책에서 언명하고자 하는 성찰은 예술을 이루고 있는 여러 요인들을 상호 연관하여 비교하고 대조하여 바람직한 미적 지향성을 밝히는 일이다. 이는 필히 전망(展望하는 일과도 관계된다. 딱히 전망이라 하여 지금에 비춰 앞날을 어떤 확신을 갖고서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앞날을 헤아려 내다보며 예술의 시대적 상황의 향방을 끊임없이 묻는 일이다.
예술의 역할이나 작용에 대해 우리는 기능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예술에 대한 기능적 설명을 함에 있어 예술의 성찰적 실천이 유의미한 까닭이다. 예술가는 수많은 소재와 방식으로 예술을 통해 세계 안에서의 인간이 차지하고 있는 위상(位相과 그 본질에 대한 성찰을 끊임없이 하며 역사적 · 사회적 위치를 드러내고자 한다. 예술에 대한 본래적 기능은 미적 경험이나 세상에 대한 지식을 얻는 데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성찰적 · 반성적 실천으로서 궁극적으로 자기이해를 꾀하며 더 나은 삶을 지향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예술작품에 대한 감각적 접촉과 참여를 토대로 적극적으로 미적 경험을 하며, 다음으로는 감각성을 넘어 이념과 가치의 정신성을 묻는다. 예술의 출발이 자기표현이긴 하지만, 자기를 둘러싸고 있는 역사적 · 문화적 토대에 대한 이해에 근거하여 공감과 소통의 폭을 넓혀 자기초월적인 보편성을 담보해야 한다. 예술은 우리의 삶의 방식에 접근하는 하나의 실천이며, 삶과 자기이해를 위한 성찰로서의 존재를 드러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