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소설 이야기』
머리말
① ‘새로운’ 소설이 탄생하다 | 개화기~1910년대
지금까지의 고전 소설은 잊어라! - 이인직의「혈의 누」
인간의 악행을 신랄하게 비판하다 - 안국선의「금수회의록」
지식인 여성들의 밤샘 토론회 - 이해조의「자유종」
자유연애와 계몽을 소설에 담다 - 이광수의「무정」
문학 깊이 읽기 ― 한국 현대 문학은 언제 시작되었을까?
② 단편 소설, 전성기를 누리다 | 1920년대
조선말로 된 최초의 단편 소설 - 김동인의「배따라기」
“조선은 무덤이고 우리는 모두 구더기다!” - 염상섭의「만세전」
유학파 지식인들은 왜 점점 무기력해졌을까 ― 현진건의「술 권하는 사회」
사랑으로 신분의 벽을 넘다 ― 나도향의「벙어리 삼룡이」
“우리는 여태까지 속아 살았다.” - 최서해의「탈출기」
문학 깊이 읽기 ― 일제 강점기 문학은 ‘한국’ 문학일까?
③ 풍요로움과 다양성을 일구다 | 1930년대~1945년
동상이몽(同床異夢 세 가족 - 염상섭의「삼대」
교활함 속에 숨겨져 있었던 민족애 ― 김동인의「붉은 산」
소외된 인물을 가만히 쓰다듬다 - 이태준의「달밤」
“이 다리에는 우리 가족의 역사가 담겨 있단다.” - 이태준의「돌다리」
눈앞에서 벌어진 일을 그대로 노트에 적다 ― 박태원의「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북적북적’ 청계천 변 시민들의 일상사 ― 박태원의「천변 풍경」
내년 봄에도 장인님과 몸싸움을 하게 될까 - 김유정의「봄·?봄」
가혹한 농촌 현실이 만들어 낸 ‘막된 사람들’ - 김유정의「만무방」
지금이면 쉽게 이루어졌을 두 사람의 사랑 ― 주요섭의「사랑손님과 어머니」
“한 번만 더 날아 보자꾸나!” - 이상의「날개」
고향과 아버지에 대한 마음을 소설에 담다 ― 이효석의「메밀꽃 필 무렵」
일제 강점기에 등장한 ‘놀부’ - 채만식의「태평천하」
문학 깊이 읽기 ― 고통과 문학적 성과는 함께 가는 것일까?
④ 혼란과 상처의 기록 | 1946년~1950년대
방삼복은 ‘개천에서 난 용’이었을까?
중고생이 꼭 알아야 할 필독 작품 수록!
수능·논술·내신을 위해 청소년이 꼭 읽어야 할 한국 문학 작품들을 엄선했다. 작품에 대한 충실한 해설은 이야기로 풀어 써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했다. 또한, 어려운 어휘 옆에는 바로 주석을 달아 설명했고, 작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시각 자료를 풍부하게 실었다. 시각 자료에는 간단한 설명까지 덧붙여 보다 깊은 이해를 도모했다.
독서를 위한 다양한 장치와 함께 현대 소설의 ‘모든 것’이 담겨 있다!
『한국현대소설 이야기』는 한국 현대문학 작품을 일곱 가지 시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소설을 제대로 읽는 데 필요한 배경 지식, 작품의 창작 배경, 작가의 삶, 여러 가지 흥미로운 일화 등 다양한 장치를 활용해 그야말로 현대 소설의 ‘모든 것’을 톺아보았다. 교과서를 기준으로 작품을 선정했지만, 교과서보다 더 심화된 관점에서 풍부한 작품 해설을 곁들였다. 이뿐만 아니라 단순히 텍스트를 감상하는 것을 넘어 현실감 있게 문학을 느껴보도록 ‘문학 깊이 읽기’, ‘사진으로 보는 문학의 현장’ 코너를 마련했다. 이는 문학 자체에 대한 흥미를 이끌어내며 독자의 인문학적 소양 향상에 도움을 줄 것이다.
작품과 해설의 혼연일체로 고전 문학사의 흐름을 완벽하게 이해한다!
『한국고전문학 이야기』는 고전 문학 작품집이 아니라 해설집으로, 자칫 이해하기 어려운 옛 작품들을 현대 우리말로 쉽게 풀어냈다. 작품이 창작된 시대를 크게 네 가지로 구분했고 작품들을 문학 형식에 맞게 각 과로 모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고전 문학사가 어떠한 시대적 흐름을 타고 발전해 왔는지, 어떠한 문학 형식으로 묶이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게다가 각 장의 끝에 있는 ‘역사 함께 읽기’ 코너를 통해서는 작품이 창작된 당대의 역사적 배경과 흐름을 알 수 있다. 즉, 우리나라 고전 문학사와 역사를 한꺼번에 공부할 수 있는 완전한 필독서이다.
◇ 『한국현대소설 이야기』와 『한국고전문학 이야기』의 작품 선정 기준과 장점
- 교육 과정뿐만 아니라 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