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점으로 뿌려진 IT 기술의 트렌드, 선으로 패러다임이 되다
PART 1. 3번째 플랫폼, 공간으로 혁신하는 메타버스
메타버스의 그늘, 엔데믹과 챗GPT
‘메타버스의 신기루’ 허상인가, 실재인가?
‘혼합현실의 미래’ 가상세계의 시작점
‘메타버스와 몰입도’ 온몸이 느끼는 인터넷
메타가 쏘고, 애플이 올린 혼합현실
‘메타’ 메타버스를 향한 진심
‘애플’ 비전 프로와 공간 컴퓨팅 시대
‘삼성과 LG’ 후발주자가 된 국내 기업, 전략적 제휴로 도약
메타버스 비즈니스의 승자는
‘LLM과 AI 에이전트’ 메타버스 확산의 마중물
‘가상경제 생태계’ 메타버스 경제는 곱하기
‘스마트홈’ 매터가 밀고, LLM이 끈다
‘비전 프로’ 애플은 메타와 다르다
PART 2. 트렌드와 패러다임 사이, AI의 반란
눈 떠보니 챗GPT와 LLM 세상
‘오픈AI’ 특이점이 온 AI, GPT-4와 챗GPT
‘비즈니스 모델’ 챗GPT와 슈퍼앱
‘초거대 AI’ 시너지는 결국 메타버스
생성형 AI 물결과 기업의 대응
‘진화’ 웹, 앱에서 생성형 AI로
‘새 시대의 개막’ 검색에서 상담의 시대로
‘초거대 LLM’ 기업 비즈니스 모델 혁신과 혁명
LLM이 가져온 사회적 이슈
‘위기’ 흔들리는 토종 한국 인터넷 기업의 위상
‘규제’ 초거대 AI가 불러온 후폭풍, 개인과 사회의 안전
‘혼란’ 생성형 AI와 저작권 이슈
PART 3. 무한 가능성, 블록체인과 클라우드
비즈니스 솔루션으로 증명하는 블록체인
‘탈중앙화’ 플랫폼 독식, 폐단의 반성
‘신뢰와 불멸의 서비스’ 블록체인과 디앱Dapp
‘NFT와 DAO’ 미래의 비즈니스 솔루션
LLM을 품은 클라우드
‘AGI 트렌드’ 2024 LLM 전략
‘LLM API’ 클라우드로 통하는 LLMaSS
‘SOTA LLM’ 독자적 sLLM의 부상과 FMOps 부각
저변 확대와 질적 성장을 위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비즈니스의 엔진’ 사용자 경험과 고객 중심의 디지
대중의 선택이 필수인 IT 기술과 서비스는
어떻게 패러다임이 되는가
‘카테고리 킹’이 되기 위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2024년의 트렌드를 살펴보다
ICT 분야 전문가, SK 경영경제연구소 부사장 선정
주목해야 할 2024년 IT 트렌드 10
2022년 팬데믹이 한창이던 때, 인터넷 세상을 흔들던 메타버스는 대중과 기업의 눈밖에 벗어난 지 오래다. 그야말로 혜성처럼 나타났다 불꽃처럼 사라졌다. 2023년에는 온 세상이 챗GPT와 AI를 외쳤다. 이렇듯 기술의 발전과 그로 인한 파생 서비스는 우리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에 전체적인 IT 트렌드를 크게 메타버스, 블록체인, AI, 웹3.0 등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 위주로 살펴본다. 그리고 2024년에 미시적으로 살펴봐야 할 키워드 10가지를 소개한다.
소셜 미디어, 서비스 인스타그램, 틱톡 다음은?
1990년대의 PC통신 동호회, 2000년대의 다음 카페와 싸이월드 등 지난 시간을 돌아보면 한국의 인터넷 커뮤니티는 소셜 서비스와 비즈니스 모델을 갖춰 진화했다. 하지만 2010년대 들어 모바일 시장이 들어서면서 한국형 커뮤니티 서비스는 주목을 끌지 못했다. 이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틱톡이 시장을 선점했고, 국내의 네이버와 카카오에서 밴드, 스토리, 제페토 등을 출시했지만 세계적인 서비스로 발돋움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런 시장에 국내의 팬덤 플랫폼 비스테이지, 위버스가 강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2024년에는 글로벌 시장에서 어떤 영향력을 행사하며 성장할지 지켜볼 일이다.
생성형 AI, 업무 깊숙이 들어오는 동반자
거대언어모델 LLM은 여러 종류의 생성형 AI를 탄생시켰다. 단순 대화형 챗봇뿐만 아니라 사진, 영상, 오디오 등 다양한 포맷의 데이터를 생산할 수도 있다. 이에 다양한 분야의 기업은 업무 생산성 향상을 위해 생성형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하지만 모든 데이터를 100% 신뢰할 수 없다는 점, 저작권 침해 문제, 프롬프트를 통한 보안 유출 문제는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