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 조선시대 춘천의 문인(文人 조선 후기 춘천 시문학(詩文學 연구
초록 조선 후기 춘천 시문학(詩文學 연구
Ⅰ. 서론 15
1. 문제 제기 및 연구사 검토 15
1 문제 제기 16
2 연구사 검토 17
2. 논의 방향과 연구 대상 19
1 논의 방향 19
2 연구 대상 21
Ⅱ. 조선 전기 춘천지역 시문학 전개 양상 27
1. 은둔과 절의의 형상 27
2. 신선이 사는 지역의 형상 37
Ⅲ. 17세기 춘천지역 학문을 위한 기반(基盤 형성 45
1. 지역 학문을 위한 협력과 자구(自求 의식 45
2. 출옹 이주(李胄의 정착(定着과 서원 건립 참여 54
3. 직재 이기홍(李箕洪의 도학(道學 식재(植栽 63
Ⅳ. 18세기 춘천지역 시문학 전개 양상 81
1. 외지 문인들의 다양한 시제(試題 도입 82
2. 두기 최성대(崔成大의 지역에 대한 서정 91
1 지역 민초들에게 향하는 시선 96
2 탁영(濯纓을 한 청평사의 표현 103
3 추원(楸原: 先山 형상 106
3. 추월 남옥(南玉의 불우한 시선과 귀향의지 110
1 신분적 한계로 인한 불용(不用의 감회 117
2 사행여정(使行旅程에서의 소회(所懷 125
4. 적와 홍언철(洪彦喆의 시사(詩社에 담긴 애향 132
1 <만곡동사> 결성과 성격 134
2 출사를 그리는 처사의 형상 136
3 세시풍속詩에 나타난 안빈낙도의 삶 140
4 .만곡 8경.에 담아낸 애향심 144
5. ..만곡동사록..속 지역 문인들의 서정(抒情 149
1 만곡동에서의 자락(自樂과 한정(閑情 151
2 지역 문인의 자존(自尊 가치 표출 156
Ⅴ. 19세기 춘천지역 시문학 전개 양상 165
1. 자하 신위(申緯의 맥록에 나타난 기속과 고증 165
1 맥풍 12장에 나타난 춘천의 기속 166
2 <청평사> 사물에 대한 고증학적 접근 173
3 지역 문인과의 교류 양상 179
2. 화서학파 문인들의 도학실현을 위한 은거와 실천 188
1 중암 김평묵(金平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