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펴내며
제1부 러시아의 초기 니체 수용
니콜라이 그롯, 〈우리 시대의 도덕적 이상들: 프리드리히 니체와 레프 톨스토이〉(1893
제2부 일본의 초기 니체 수용
필자 미상, 〈유럽에서 덕의 사상의 두 대표자인 프리드리히 니체 씨와 레오 톨스토이 백작의 견해 비교〉(1893. 12.
필자 미상, 〈니체 씨와 톨스토이 백작의 덕의 사상을 평하다〉(1894. 1.
우키타 가즈타미, 《윤리총화》(1909 68
제3부 중국의 초기 니체 수용
량치차오, 〈진화론 혁명론자 키드의 학설〉(1902. 10. 16.
왕궈웨이, 〈니체 씨의 교육관〉(1904. 3.
왕궈웨이, 〈독일문화 대개혁가 니체전〉(1904. 6.
왕궈웨이, 〈니체 씨의 학설(제10기〉(1904. 7.
왕궈웨이, 〈니체 씨의 학설(속 제10기〉(1904. 7.
왕궈웨이, 〈쇼펜하우어와 니체〉(1904. 11
제4부 대한제국과 식민지 시기의 니체
대한제국기의 니체 소개
필자 미상, 〈윤리총화〉, 《서북학회월보》(1909. 4. 1.
필자 미상, 〈윤리총화 속〉, 《서북학회월보》(1909. 5. 1.
식민지 조선 시기 《학지광》의 니체 소개
주종건, 〈새해를 맞이하여 유학생 제군에게 드림〉, 《학지광》(1915. 2. 27.
최승구, 〈너를 혁명하라! “Revolutionize yourself!”〉, 《학지광》(1915. 5. 2.
최승구, 〈불만과 요구 - 가마쿠라로부터〉, 《학지광》(1915. 7. 23.
현상윤, 〈강력주의와 조선청년〉, 《학지광》(1915. 7. 23.
이광수, 〈먼저 짐승이 된 연후에 사람이 되라〉, 《학지광》(1917. 1. 1.
전영택, 〈전적 생활론〉, 《학지광》(1917. 4. 19.
찾아보기
옮긴이 소개
독일에서 태동해 서구의 전통을 깬 ‘망치를 든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의 사상은
동북아시아에 어떻게 전파되었을까?
20세기 동북아시아의 정신사는 서양 사상과의 만남이나 그 수용과 변용 속에서 움직이는데, 니체의 수용은 당시 유행하던 유럽 철학사상을 단편적으로 소개하는 단계를 넘어 동북아시아의 사회적·시대적 문제를 풀어내려는 정신사의 역동을 반영하고 있다. 이 책은 동북아시아에서 니체 사상이 수용되는 과정, 즉 니체가 동북아시아에서 왜 문제가 되었는지, 그리고 니체 사상이 각 지역 국가에서 어떻게 오용 또는 활용되었는지를 밝히는, 동북아시아 정신사를 읽는 영향사적 텍스트가 될 수 있다. 니체 사상은 사상의 수용과 텍스트 읽기에 대한 이해와 오해 속에서, 역사적 격변과 문명사적 전환 속에 있던 동북아시아의 국가·사회·정치·시대 문제들 속에서 여러 형태의 시대적·사회철학적 의상을 입고 등장한다. 따라서 이 책의 내용은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 역사적 격변기를 겪던 동북아시아에서 수용한 니체에 대한 해석이며, 동시에 동북아시아의 정신사 자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니체가 수용되는 과정에서 드러난 각 지역 국가의 사회·정치·문화·시대 문제 등을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러한 텍스트를 읽으며 동북아시아 정신사의 주요 이슈들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러시아, 일본, 중국의 초기 니체 수용
초기 니체 수용 과정에서 쓰인 주요 텍스트들 가운데 러시아에서는 톨스토이주의와 니체주의를 하나의 개념 쌍으로 묶어 소개함으로써 동북아시아에서 니체를 수용하는 데 첫 가교 역할을 한 니콜라이 그롯Nikolai Grot의 글 〈우리 시대의 도덕적 이상들: 프리드리히 니체와 레프 톨스토이〉(1893를 선정했다. 니체와 톨스토이를 비교하며 함께 다룬 그롯의 글은 서양 사상과 슬라브주의, 서구의 근대화/산업주의와 러시아의 전통과 토양을 지키려는 토양주의의 대립과 충돌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일본에서는 그롯의 글을 토대로 니체와 톨스토이의 도덕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