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판을 내면서 7
옮긴이의 말 9
일러두기 15
제1권 폴리스와 가정 21
제1장 인간의 좋음과 정치적 공동체 23
제2장 폴리스의 기원과 성장, 그리고 목적 28
제3장 가정 관리와 가정의 부분들: 가정에 대한 예비적 분석 40
제4장 주인의 도구로서의 노예 43
제5장 자연적 노예에 대한 정당화 47
제6장 자연적 노예의 정당화에 관한 논쟁 53
제7장 노예 지배에 필요한 주인의 기술 60
제8장 가정 관리와 획득술 63
제9장 교환 경제의 기원, 성장, 다양성 70
제10장 획득술과 관련된 가정 관리, 교역, 대부(貸付 79
제11장 획득의 방식과 독점: 분석과 평가 83
제12장 가정의 관리, 여자와 아이 90
제13장 가정 구성원의 도덕적 탁월성 93
제2권 최선의 정치체제에 관한 견해들
플라톤의 『국가』와 『법률』, 스파르타와 카르타고 103
제1장 선행 철학자들에 의해 제안된 최선의 정치제제, 재산 공유의 한계 103
제2장 플라톤의 『국가』에서의 사회적 ‘하나임’과 정치적 ‘하나임’에 대한 비판 105
제3장 하나임의 체제에서의 언어와 소유의 심리학 114
제4장 플라톤의 『국가』에서의 아내와 자식 공유제에 대한 비판 120
제5장 플라톤의 『국가』에서의 재산 공유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정치체제 125
제6장 플라톤의 『법률』에서 최선의 국가에 대한 두 번째 비판 139
제7장 팔레아스의 정치제도: 평등주의에 대한 비판 153
제8장 힙포다모스의 정치체제와 재산, 법, 혁신의 문제 163
제9장 스파르타의 정치체제와 사회체제에 대한 비판 174
제10장 크레타의 정치체제와 사회체제에 대한 비판 192
제11장 카르타고의 정치체제와 사회체제에 대한 비판 201
제12장 솔론의 정치체제에 대한 옹호, 다른 입법자들의 중요한 정책 210
제3권 폴리스와 정치체제 219
제1장 시민의 정의: 관직과 판결에 참여해야 한다 221
제2장 시민의 조건 229
제3장 폴리스는 정치체제를
윤리 없는 정치는 가능하지 않다!
“최상의 정치체제에서 시민이란
지배받고 지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자이며,
덕에 입각한 삶의 방식을 목표로
그 양쪽을 스스로 선택하는 자를 말한다.”
제3권 제13장 1284a1-3
정치철학에 대한 근본 문제를 제기하는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근래에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에 대한 관심이 사그라들었다면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일지 모른다. 민주정에 대한 비판, 남성 지배적 권위주의, 여성에 대한 경멸, 노예제 수용, 문화 및 언어에 따른 본성적 인종주의, 한 공동체에서의 엄격한 시민권의 제한 등등. 즉, 오늘날의 상황에 어울리지 않는 지나치게 한쪽으로 기울어진 특정한 이데올로기 때문일 것이라는 말이다.
그럼에도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을 다시 읽어야 하는 이유가 있다. 『정치학』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치철학에 대한 다음과 같은 근본적인 문제들을 제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적 공동체(폴리스, 국가는 어떤 기원을 통해 형성되고, 그 목적은 무엇인가? 공동체 구성원의 자격 조건은 어떤 것인가? 어떤 근거에서 우리는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로 살아가야 하는가? 한 공동체에서 정의는 어떤 바탕에서 이루어져야 하는가? 정치적 정의와 경제적 정의는 어떤 관련성을 맺고 있는가? 어떤 자격을 갖춘 자가 지배자가 되어야 하는가? 그 정당성은 무엇인가? 오늘날 우리가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민주주의는 수정 가능하지 않은 정치체제인가? 가장 바람직한 정치체제로서 민주주의는 완벽한 것인가? 시민 교육은 공교육 체제로만 이루어져야 하는가? 그리고 궁극적인 마지막 물음! 공동체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에게 진정한 의미의 ‘행복’이란 무엇인가?
『정치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치체제에 대해 냉정하리만치 중립적인 태도와 관찰자적 입장을 취한다. 그는 아테네에서 시민이 아닌 거류외국인 신분으로 지냈다. 즉 아리스토텔레스는 아테네에서 오래 살았지만 아테네 시민이 누리는 정치적 권리를 갖지 못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생각한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