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한국 사회의 쟁점
돈과 행복의 함수는?
열심히 일해서 부자가 될 수 있을까?
노동을 존중하지 않는 사회
자본소득에 마음이 쏠리는 사람들
경제적 자유 추구가 속박이 되지 않으려면
직업별 사회적 가치 기준 세우기
2장 한국인에게 집은 무엇인가?
어디 사세요?
집, 계급이 되다
부동산 정책 평가
집값 안정 최우선 과제는 공공주택
비싼 동네의 삶이 더 만족스러울까?
3장 돌봄 사회를 향하여
빈곤과 복지 사각지대
아는 사람만 받는 복지
아이들이 유치원 다니듯, 노인도 센터에 다닐 수 있다면
도움 청할 곳 없이 외로운 노인들
공공이 나서야 할 노인 요양 서비스
4장 코로나를 되돌아보며
코로나가 불러온 급성 빈곤
코로나 감염 예측과 찾아가는 방역
코로나19 위기의식과 정부 신뢰도
온라인 수업과 교육 격차
코로나가 바꾼 장례문화
코로나19와 쓰레기 문제
5장 한국의 청춘들
마음의 문을 닫고 고립된 청년들
청년, 정치를 말하다
이대남과 이대녀의 다른 시각
입시 제도가 불공정하다고 느끼는 청소년들
청소년에게 더 많은 정치 참여권을
교육정책 일관성부터 확보해주세요
교복 입은 유권자의 선택
6장 약자와의 연대
여성으로 산다는 것의 공포
위안부 운동, 어떻게 생각하세요?
장애인 이동권 실태
장애인 이동권, 갈등 넘어 연대로
7장 권력과 책임
사회적 참사와 정부의 역할
흑백 민주주의와 여백 없는 사회
제 머리 못 깍는 사법부: 법관 징계 현실과 대안
해외 원조, 확대해야 할까?
바이든 시대의 남북·한일·한미관계
국정감사, 이대로 괜찮나요?
기본소득을 지지하십니까?
8장 일상의 문제의식
반려동물 보유세, 도입해야 할까요?
팻로스, 인정받지 못하는 슬픔
수돗물, 믿고 마실 수 있나요?
당신의 장례식은 어떤 색깔입니까?
성향과 선택
① 한국인의 삶에서 ‘돈’의 중요성 인식은 더 커지고 있다. 또한, 행복에서 돈이 결정적이라는 사고방식이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그런데 ‘열심히 일해서는 부자가 될 수 없다’는 생각이 강하며, 우리 사회가 노동을 존중하지 않는다고 느끼는 사람이 더 많다. 그 결과 부가적인 경제 활동이나 위험한 투자에 나서는 사람이 늘었다. 젊은 층에서 이런 경향이 더 강하다.
② ‘사는 곳이 곧 사회적 지위와 경제력을 말해준다’는 부동산 계급화를 체감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단순한 생각뿐 아니라 실생활에서 이러한 소외감을 느끼는 사람이 많다. 부동산 격차가 커지고 문제가 심각해진 결정적 원인을 정부 정책 실패에서 찾는 여론이 많다. 부동산 문제를 해결할 최고의 대책은 공공주택으로 꼽힌다. 부동산 계급화 인식과는 달리, 실제에서 비싼 동네의 주거 만족도는 높지 않았다.
③ 가난으로 위기에 처한 사람이 사회적 도움을 받지 못하는 ‘복지 사각지대’ 문제가 심각함이 드러났다. 지원 대상에서 탈락할까봐, 복잡한 절차 때문에, 정보가 없어서 복지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대상자가 신청하는 기존 제도에서 찾아가는 제도로 변화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요양시설 입소로 귀결되는 기존 노인 요양 시스템이 일관된 체계 아래 다양화한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이 아픔을 겪었거나 겪고 있는 가족들의 의견이다. 또한, 일선 요양 서비스 현장의 요양보호사 인권 문제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폭력 등의 고통에 시달리는 사람이 많으며 자긍심도 낮다.
④ 한국 사회는 코로나19를 겪으며 고통을 받았지만, 새로운 변화 가능성도 찾았다. 코로나로 생계가 곤란해진 급성 빈곤 문제가 심각했다. 코로나 확산 경로는 독감과 감기 등 호흡기 질환과 비슷했다.
온라인 수업은 발전적 교육과 학습의 가능성을 보였지만, 교육 격차 문제 해결이라는 과제를 불러왔다. 또한, 코로나는 기존 장례 문화, 쓰레기 처리 등 생활 문화의 변화에 대한 문제의식을 불러일으켰다.
⑤ 집안에 틀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