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_ 섬에서 ‘맛난’ 밥상
1부. 섬 밥상
왜 섬의 대표 음식이 국수일까?_ 백령도 | 고래에게 배운 미역 먹는 법_ 독거도 | 해삼 하나로 보물섬을 만든 사람들_ 장고도 | 해적이 살던 보물섬의 보물 밥상_ 소리도 | 새신랑도 환장하게 만드는 맛_ 도초도 | 홍어의 성지 대청·소청 바다_ 대청도 | 숫양파의 비애_ 암태도 | 한목숨 죽어야 한목숨 살아지는 생애의 한낮_ 병풍도 | 고등어회에 낮술 안 마시면 반칙_ 욕지도 | 막배가 끊긴 뱃머리 좌판 술상_ 청산도 | 장군의 섬에서 맛보는 최고의 약선 음식_ 한산도 | 마지막 남은 남해안 별신굿 밥상_ 통영 죽도 | 배를 타고 가는 사막, 섬 속의 사막_ 우이도 돈목 | 조선시대 세계 여행자, 문순득이 살던 마을_ 우이도 진리 | 외딴섬에 숨어 사는 사내처럼_ 만재도 | 보살의 밥상_ 하태도 | ‘할아버지 한 개 없는’ 할머니들의 노인당 밥상_ 통영 지도 | 포로수용소가 있던 섬의 저녁 밥상_ 추봉도 | 고급 시푸드의 향연, 섬 제사상_ 제주도와 울릉도 | “우리 섬은 집에서 밥해 먹는 사람이 없어요”_ 여수 하화도 | 케이크보다 달고 부드러운 퍼플섬의 고구마막걸리_ 반월도 | 반전의 낙지 요리_ 하의도 | 중국의 닭 우는 소리 들리는 섬의 맛_ 가거도 | 그리움이 깊으면 외로움도 깊어라_ 죽변
2부. 섬 음식
포트 해밀턴에서 맛보는 홍합 요리_ 토종홍합 | 해녀들도 다금바리보다 좋다는 극강의 맛_ 성게식혜 | “흑산도 사람들은 삭힌 홍어 잘 안 먹어”_ 홍어 | 돌김은 왜 돌김이고 김은 왜 김일까?_ 김국 | 손으로 꽁치를 잡아서 만들어 먹는 물회_ 손꽁치 | 섬사람들의 백병통치약_ 낙지호롱 | 서남해 섬사람들의 소울푸드_ 장어탕과 장어간국 | 까마귀 잡아먹는 도적, 오징어_ 오징어내장탕 | 슬기로운 민어 탐구 생활_ 민어 | 첫 사람의 속살만큼이나 투명한 다시마_ 다시마 | 보리 꽃 필 때 먹는 으뜸 물고기_ 보리숭어 | 선주집 비장의 해장국_ 굴통국 | 굴 요리의 최고봉_ 물굴젓 |
해녀 밥상에서 공동체 밥상까지, 메밀냉면에서 낙지호롱까지,
대한민국 섬을 누비며 발견한 우리의 토속 음식 문화
“왜 섬의 대표 음식이 국수일까?”
“홍어는 어째서 막걸리랑 먹는 것일까?”
“비린 꽁치를 물회로 먹는 것이 가능할까?”
“언제까지 바다에서 나오는 민어를 맛볼 수 있을까?”
섬 음식은 우리 음식의 ‘오래된 미래’다
우리나라에는 3,348개의 섬이 있다. 이중 사람이 사는 유인도는 472개,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는 2,876개이다. 섬은 바다에 의해 고립되어 있어 고유의 토속 문화가 보존되기 좋다. 섬사람들은 이러한 섬에서 자신들만의 사회와 문화를 일구고 삶을 영위한다. 그러나 전 세계적 기후위기로 수온 상승, 산성화, 해수면 상승 등 바다에 위기가 닥치면서 바다 먹거리와 섬의 토속 음식 문화 또한 위협받고 있다. 생존을 위해 필요한 먹거리 하나쯤 없어진다 한들, 먹거리가 넘쳐나는 현대 사회에서 무슨 큰 문제가 되겠나 싶기도 하겠지만, 『날마다 섬 밥상』을 읽는다면 다시 생각하게 될 것이다. 바다 먹거리의 보고인 섬에서 나는 음식이, 섬사람들이 차린 밥상이 얼마나 의미 있는 문화적 유산인지, 지구의 미래 먹거리로서 얼마나 큰 가치가 있는지 말이다.
섬 밥상은 섬사람이 그려낸 삶의 무늬다
『날마다 섬 밥상』은 섬에서 나고 자란 저자가 고향 섬을 떠난 뒤에도 20여 년째 섬을 돌아다니며 섬의 역사와 문화, 섬 음식을 기록한 결과이다. 그 과정에서 저자는 지나가는 길손에게도 스스럼없이 “밥 먹고 가라”고 하는 섬사람들의 인심 덕에 섬의 토속 음식 문화를 기록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 이 책에서는 24개의 섬 밥상과 25개의 섬 음식을 맛볼 수 있다. 해녀 밥상에서 공동체 밥상까지, 메밀냉면에서 낙지호롱까지, 밥상과 음식에 담긴 사람과 사연도 가지각색이다. 게다가 촘촘하게 곁들인 사진과 그림은 섬 밥상과 이를 둘러싼 사람들의 이야기에 감칠맛을 더한다. 책 한 권으로 대한민국 섬 밥상과 섬 음식을 온전히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길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