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자력갱생의 개념과 추진 배경
1. 자력갱생의 주요 개념과 전략적 위상
2. 자력갱생의 추진 배경
제2장 김일성·김정일 시대의 자력갱생
1. 김일성 시대의 자력갱생
2. 김정일 시대의 자력갱생
제3장 김정은 시대 자력갱생 기조
1. 새 세기 산업혁명과 지식경제 기반 구축
2. 현대화·정보화 추진
3. 비정상의 정상화, 국산화와 재자원화
4. 시장화에 의존한 자력갱생
5. 국가적·계획적·과학적인 자력갱생
6. 개방적인 자력갱생
제4장 계승과 특징
1. 자력갱생의 계승
2. 김정은 시대 자력갱생의 특징
제5장 변화, 성과와 한계
1. 김정은 시대 자력갱생의 변화
2. 김정은 시대 자력갱생 성과
3. 김정은 시대 자력갱생의 한계
제6장 결론과 전망
김정일 시대의 자력갱생은 어떤 성과를 거두었으며,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
2022년 1월 한 달 동안 북한은 극초음속미사일을 포함해 무려 7발의 다양한 미사일을 시험발사하면서 한반도에서의 긴장감을 높여 가고 있다. 김정은 집권 이후 월간 최다 기록으로, 연속적인 시험발사를 통해 고도화된 미사일 기술 수준을 마음껏 과시한 것이다. 그런데 북한의 경제상황을 감안하면, 다른 한편으로 궁금증이 증폭된다. 상식적인 판단으로는 상당한 수준의 경제력과 과학기술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국방과 군수 분야에서의 비약적 발전은 상상하기 힘들다. 그러나 북한은 위협적인 첨단 전략전술무기들을 거의 마음먹은 대로 개발 중이다. 북한은 올해 국방 정책 방향으로서 국가방위력의 질적 변화를 강력히 추동하고, 국방공업의 주체화·현대화·과학화 목표를 계획적으로 달성할 것임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국방과학기술에 대한 자신감에 기초한 것이다.
이처럼 북한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스스로 국경을 봉쇄한 이후 3년차에 접어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 분야는 물론 국방 분야에서 더 높은 수준의 목표를 고지했다. 도대체 연속적인 첨단무기 개발·생산과 전면 봉쇄 및 고립 상황에서도 과시하는 자신감, 이 국면을 버티고 있는 내구력·자생력은 어디서 생겨나는 것일까. 이를 확인하고자 저자는 ‘자력갱생’이라는 키워드로써 북한 체제의 자신감, 내구력, 자생력을 설명하려 시도했다. 집권 10년, ‘수령’ 김정은의 북한은 많이 달라졌지만 북한 체제를 상징하는 자력갱생은 여전히 고수되고 있다. 북한 정권은 길고 지루한, 그리고 치명적인 제재와 코로나 역병에도 죽지 않고 살아남았다. 오히려 더 강해진 느낌이다. 저자는 이를 자력갱생의 결과로 본다.
우리가 ‘북한’ 하면 연상되는 상징어로서 자력갱생을 오랫동안 익숙히 들어 왔지만, 사실 그 역사와 구조, 성과와 한계 등을 상세하게 설명한 선행연구는 거의 없었다. 저자는 김정은 시대의 자력갱생이 이전과 무엇이 다르며, 무엇이 같은지를 비교·고찰하면서, 특히 오늘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