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말_ “우리 아빠가 노동자라니…”
1 오늘, 어떤 노동을 만났니?
편의점에 가서 컵라면을 먹기까지
“우리 아빠는 노동자가 아닙니다. 회사원입니다
하고 싶지만 하기 싫은 것
2 노동의 역사: 고통, 성스러움, 그리고 계약
노동이 고통이던 시대
고통에서 ‘신의 부름’으로
계약노동과 근대 노동자의 탄생
노동이 소외되다
지식정보사회와 프로페셔널
인공지능 시대의 노동과 직업
노동의 의미는 다양하다
3 노동, 진정한 나를 찾는 여정
행복의 조건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 노동
직업, 노동, 그리고 나
4 워라밸, 노동과 휴식의 균형
워라밸, 스라밸, 머라밸
“휴가 가려고 사표 냅니다!”
균형이 필요하다
5 노동기본권이란 무엇일까?
노동조합이 ‘그렇게’ 나쁩니까?
새로운 노동조합을 꿈꾸는 청년들
“〈무한도전〉 좀 봅시다, 김 사장!”
질문을 바꾸면 보이는 것들
6 왜 비정규직이 문제일까?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가 아닌 노동자?
‘분단’된 노동시장
실업자는 무능력자일까?
7 1시간을 일하고 9,620원을 받는 사람들
최저임금, 노동을 비추는 사회적 거울
최저임금이 오르면 일자리가 줄어들까?
8 내일, ‘좋은 노동’을 만나자!
좋은 노동이란 무엇일까?
노동이 즐거운 세상
누가 먼저 앞장서야 할까?
나오는 말_ “나도 떳떳한 노동자가 될 거야”
함께 읽으면 좋은 책
미주
그림 출처
찾아보기
회사원인 아빠는 엄밀히 말해 노동자다.
그런데도 회사원과 노동자는 왜 이렇게 느낌이 다를까?
귀한 노동과 천한 노동은 따로 있는 걸까?
뉴스에 등장하는 노동조합은 과격한 행동만 일삼는 것 같은데,
누군가는 왜 노동조합이 필요하다고 할까?
집안일과 아이를 돌보는 엄마의 일은 노동이 아닐까?
언젠가 나도 노동자가 된다면, 노동은 내 삶에 어떤 의미여야 할까?
청소년이라면 반드시 살펴야 할
우리사회 노동 이야기
지금 청소년에게 직업 선택의 가장 중요한 기준은 뭘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청소년 10명 중 3.5명은 ‘수입’을 꼽았다. 2017년만 해도 적성·흥미가 36.3%로 1위였으나 2019년에 그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선호하는 직장은 ‘대기업’이 31.4%로 1위다. 2013년까지 1위를 차지했던 ‘국가기관’은 2위로 밀려났는데, 수입이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올라선 것과 무관치 않을 것이다. 청소년의 이러한 선택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과연 바람직한 변화일까? 이 책, ≪왜 노동이 문제일까?≫는 노동이 지닌 다양한 의미를 청소년의 눈높이에서 찬찬히 살피는 책이다. 저자는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노동의 개념을 설명하고, 노동을 바라보는 시각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하나씩 짚는다. 한때 노예의 고통스러운 의무였으며 신의 의지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받아들여졌던 노동은, 현대에 이르러 계약을 통해 경제적 이득을 얻는 도구이자 자아실현의 수단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이처럼 노동의 변천사를 살피는 이유는 독자인 청소년에게 노동에 대한 시각을 넓혀주기 위함이다.
단국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이기도 한 신은종 저자는 노동과 경영을 균형과 조화의 관점에서 가르쳐야 한다고 말한다. 노동은 노동자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사용자 즉 고용주의 문제이기도 한데, 저자는 이들 사이의 이해관계를 고려하고 균형감 있게 청소년을 위한 노동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저자는 국제적인 저소득 청소년 창업교육재단인 NFTE의 한국 대표를 맡아 우리 사회의 소외 청소년들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