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내며
1부┃한국 유교사의 맥과 인류 종교의 미래
1 _ 밭에 감춰진 보화 같은 유교의 도(道
2 _ 동아시아 문명화 과정과 유교
3 _ 유교 문명의 기원과 전개
4 _ 유교의 인간 이해(人와 한국인의 사람됨(仁
5 _ 유교적 인설(仁說과 성학지도(聖學之道의 종교성
6 _ 공자의 어린 시절과 어머니 안징재
7 _ 맹자의 정의(義와 인간 삶의 조건
8 _ 맹자의 효(孝와 유교적 궁극신앙(事天
9 _ 16세기 조선에서 퇴계와 양명 만나다
10 _ 16세기 조선의 퇴계와 율곡, 그리고 오늘의 우리
11 _ 17세기 하곡 정제두, 주자학과 양명학의 조선적 통섭
12 _ 18세기 성호 이익, 조선의 주체성과 실학으로서의 성리학
13 _ 18세기 조선 성리학 여성 주체를 일깨우다, 임윤지당의 삶과 사유
14 _ 사유하는 집사람 강정일당의 유교 종교성과 페미니즘
15 _ 18·19세기 조선 성리학, 천학(天學에 이르다
16 _ 순암 안정복과 하빈 신후담의 서학적 천학 비판
17 _ 18·19세기 호락논쟁의 조선 성리학, 실학을 일으키다
18 _ 19세기 조선 토양에서 다시개벽으로 탄생한 동학, 한국적 지구종교
19 _ 20세기 초 조선 유교와 민족, 홍암 나철의 대종교와 해학 이기의 진교
20 _ 한말의 의병 운동과 유교 공(公의 영성과 종교성
21 _ 근대 유교개혁과 진암 이병헌의 유교종교화 운동
22 _ 유교와 기독교의 대화와 인류 종교의 미래
2부┃한국 종교문화사 전개와 현대 페미니즘
1 _ 한국 종교문화사를 여성주의적으로 이해하기
2 _ 무교(巫敎와 한국 여성: 존재의 현재적 기반을 지시해 주는 무교
3 _ 불교와 한국 여성: 존재의 모든 구별과 차별을 無(무로 돌릴 수 있는 힘
4 _ 조선 유교와 한국 여성: 일상의 삶을 聖으로 승화시키는 유교
5 _ 현대 한국 여성과 기독교 그리고 페미니즘: 여성적 자아의 확장과 전통과의 새로운 만남
6 _ 한국 여성 종교성의 세 차원: ‘통합성’(聖,
‘잊혀진 유교’와 ‘타락한 기독교’라는 키워드는 오늘의 유교와 기독교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단적으로 표현한다. 다른 한편 오늘 한국 사회의 기독교는 유교 사회인 조선이 멸망하며 근대사회로의 이행하는 흐름 속에서 성장한 혹은 그 이행을 추동한 원동력으로서, 서로 대립적이거나 심지어 적대적이라고 이해되기도 한다. 거기에 ‘여성’이라는 키워드를 더해 놓고 보면, 유교는 여성의 공적(公賊으로서 한국 사회 여성 불평등의 원조(元祖로서 낙인 찍혀 있고, 기독교는 한국 근대사에서 여성의 깨어남, 여성 인권과 교육 신장 등을 선도한, 그리고 그 자신도 여성 독신자들의 원력을 중요한 기반으로 하여 성장한 여성-친화적 종교로서 이해되는 풍경이 나타난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유교가 태생적으로 근본주의적이며 반(反-페미니즘적이라는 선입견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기독교가 한국사회에 안착하는 데는 유교적 소양을 갖춘 한국 기독교 선구자들이 그 정체성을 온존한 채 기독교를 받아들이고 자리매김함으로써 한국 기독교의 성공적인 출발을 보게 되었다고 진단한다. 그리고 오늘 다시 기독교가 사회 적폐의 대명사로 자리매김한 처지에, 유교적 보편주의나 일상생활에서 거룩함을 실현하는 것을 지상 덕목으로 삼는 유교적 현재주의의 장점을 배우고 되살림으로써, 스스로의 건강성을 회복하고 기독교 자신은 물론 한국사회, 나아가 세계(지구적인 위기를 극복하는 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또 저자 이은선은 오랫동안 연구하고 실천해 온 대로, ‘유교 페미니즘’을 내세운다. 즉 한국 유교는 현대 페미니즘을 적극적으로 끌어안고, 탈성별적인 보편성의 언어로서 최선의 페미니스트가 됨으로써 오늘 한국 페미니즘이 직면한 한계상황을 극복하게 할 수 있음을 말한다. 또한 기독교는 오늘날 궁극적 실재와 직접 소통하는 시대라는, 기독교 친화적이지 않은 사회 환경에서 각 개인이 나름의 이성과 지성 그리고 사색의 힘으로 스스로 초월적 존재와 소통하는 양식을 내면화하는 데 있어서 유교적 지혜와 전통에서 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