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한글철학의 최초구성을 하면서 스스로 한민족에게 다시 얼을 되찾아준 기분”이라고 말한다.
한 나라가 자생철학을 갖는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인 것 같다.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선진국의 문턱에서 좌절하는 국가가 적지 않다. 돌이켜 생각하면 그 원인은 자생철학을 가질 수 있는 능력이 있느냐, 없으냐의 차이인 것 같다. 자생철학이 없으면 국민의 교양으로서의 철학이 부재하고, 다른 나라와 구별되는 독자적인 사유를 할 수 없게 되고, 지식인이라고 하더라도 결국 사대주의자가 될 수밖에 없다. 독자적인 사유체계가 없으면 결국 부(富를 지탱할 수 없게 된다.
우리가 경험론이라고 알고 있는 철학은 영국의 철학이다. 관념론이라고 알고 있는 철학은 독일의 철학이다. 합리론이라고 알고 있는 철학은 프랑스의 철학이다. 실용주의라고 알고 있는 철학은 미국의 철학이다. 이들 국가들은 스스로의 힘으로 보편성에 도달한 문화능력이 있기 때문에 근대세계를 지배하고 있다.
저자는 서문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불행하게도 우리는 서구의 철학을 그 나라의 국민철학, 혹은 국가철학이라고 이해하고 있기보다는 처음부터 보편철학의 위치에 있었던 것으로 착각하고 있다. 물론 이들 철학이 보편성에 도달한, 세계인으로 하여금 믿고 따를 수 있는 시대정신을 반영한 철학이다. 그러나 그 철학의 발생 과정을 보면 그 나라의 사유체계와 존재방식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오늘날 세계는 지구촌이라는 말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하나의 마을처럼 가까워졌지만, 그럴수록 자신만의 고유의 철학을 가지고 있어야 철학적 시민권을 주장할 수 있고, 선진국으로서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다. 그 나라의 고유한 철학이 없으면 결국 정신적 사대주의에 빠지게 된다.”
그런 점에서 한국이 선진국이 되려고 하면 종래 동서철학에 대한 해박한 이해와 더불어 그 틈새를 뚫고 우리말인 한글에 의해 개념화되고, 체계화된 한글철학을 가지지 않으면 안 된다. 서양철학, 중국철학을 배우고 따라가면 된다는 생각은 문화적 사대주